Microsoft/Windows2023. 2. 24. 16:00

관리자 권한 cmd를 열고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레지스트리 + 제품 키 제거하고

3번째 명령어는 제품 키를 확인한다.

C:\> slmgr /cpky
C:\> slmgr /upk
C:\> slmgr /xpr

[링크 : https://m.blog.naver.com/kangyh5/221777384991]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11 notepad 별루야!  (0) 2023.04.10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9. 11:59

Virtualbox나 VMware 등을 보면

Host OS에서 인식된 USB를 Guest OS로 연결해서 넘겨줄수 있는데 그 기능을 찾는중

 

결론 : 응 안돼. 안 되는데 돼.

 

USB 디바이스 연결에 대한 지원은 WSL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오픈 소스 usbipd-win 프로젝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connect-usb]

    [링크 : https://github.com/dorssel/usbipd-win/releases]

    [링크 : https://choiseokwon.tistory.com/354]

 

virtualHere USB Server / Client로 하는 방법

[링크 : https://lab-notes.tistory.com/entry/WSL2에-USB-device-연결]]

    [링크 : https://www.virtualhere.com/windows_server_software]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첫 WSL 설치  (0) 2023.01.07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9. 10:27

걍.. localhost로 접속하면 끝..

(어제 하던 그 개고생은 도대체 머였단....)

[링크 : https://netmarble.engineering/journey-to-wsl2-and-trouble-shooting/]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첫 WSL 설치  (0) 2023.01.07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8. 16:33

dism 명령을 이용하여 강제로 패키지 설치하면 가능은 한 듯.

그런데 라이선스 위반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링크 : https://lastcard.tistory.com/141]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첫 WSL 설치  (0) 2023.01.07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dependency walker  (0) 2022.02.1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7. 19:58

다 해서 5분도 안걸려 설치한 느낌인데..

아무튼 기본값으로는wsl2 / ubuntu가 설치된다는 듯?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C:\>wsl --install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설치 중: 가상 머신 플랫폼
가상 머신 플랫폼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Ubuntu
Ubuntu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요청한 작업이 잘 실행되었습니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리부팅 필요하다니까 리부팅 하고 wsl 입력하니

C:\>wsl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는 설치된 배포판이 없습니다.

'wsl.exe --list --online'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배포판을 나열하고
 'wsl.exe --install <Distro>'를 사용하여 설치하세요.

배포판은 Microsoft Store
(https://aka.ms/wslstore)를 방문하여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Error code: Wsl/Service/CreateInstance/GetDefaultDistro/WSL_E_DEFAULT_DISTRO_NOT_FOUND

 

한 체감 10분 기다리니 아래와 같이 계정 생성을 하고

 

다른 cmd 창에서 wsl 이라고 입력하니 바로 로그인 된다.

C:\>wsl
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user "root"), use "sudo <command>".
See "man sudo_root" for details.

minimonk@DESKTOP-Q4DCTJN:/mnt/c/Users/free$

 

일단은.. 22.04가 설치되고, eth0에 못보던 아이피가 설정되는데

윈도우 쪽에서 wsl의 ssh로 접속하려면 어떤 과정이 또 필요하려나?

$ cat /etc/lsb-release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22.04
DISTRIB_CODENAME=jammy
DISTRIB_DESCRIPTION="Ubuntu 22.04.1 LTS"

$ ip a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bond0: <BROADCAST,MULTICAST,MASTER> mtu 150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f6:3c:1e:e2:57:59 brd ff:ff:ff:ff:ff:ff
3: dummy0: <BROADCAST,NOARP> mtu 150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d2:99:9f:46:37:30 brd ff:ff:ff:ff:ff:ff
4: tunl0@NONE: <NOARP> mtu 148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ipip 0.0.0.0 brd 0.0.0.0
5: sit0@NONE: <NOARP> mtu 148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sit 0.0.0.0 brd 0.0.0.0
6: eth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mq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15:5d:97:d7:20 brd ff:ff:ff:ff:ff:ff
    inet 192.168.182.99/20 brd 192.168.191.255 scope global eth0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215:5dff:fe97:d720/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윈도우에서 ipconfig 해보니 vEthernet (WSL) 이라는 인터페이스가 생기고

192.168.176.1로 연결되도록 되나보다. 일종의 NAT 기능을 제공하는 건가?

C:\>ipconfig /all

이더넷 어댑터 vEthernet (WSL):

   연결별 DNS 접미사. . . . :
   설명. . . . . . . . . . . . : Hyper-V Virtual Ethernet Adapter
   물리적 주소 . . . . . . . . : 00-15-5D-AE-B1-6C
   DHCP 사용 . . . . . . . . . : 아니요
   자동 구성 사용. . . . . . . : 예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e529:82e:c987:9956%39(기본 설정)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76.1(기본 설정)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40.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DHCPv6 IAID . . . . . . . . : 654316893
   DHCPv6 클라이언트 DUID. . . : 00-01-00-01-2B-49-2A-0B-F8-63-3F-13-0F-1F
   DNS 서버. . . . . . . . . . : fec0:0:0:ffff::1%1
                                 fec0:0:0:ffff::2%1
                                 fec0:0:0:ffff::3%1
   Tcpip를 통한 NetBIOS. . . . : 사용

[링크 : https://bebutae.tistory.com/198]

 

그나저나 wsl guest OS는 종료가 안되는 듯?

$ sudo shutdown -h now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Failed to talk to init daemon.

 

네트워크가 NAT로 기본으로 잡히는데 Virtualbox나 vmware처럼 bridge로 돌릴수도 있는데

그 작업을 하려면 Hyper-V 관리자라는게 있어야 하는 듯.

명령어 줄에서 WSL만 설치해서 그런가 의존성이 있는 관리 패키지가 없어서 그런것 같긴하네..

[링크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995027]

[링크 : http://shaun289.blogspot.com/2020/06/wsl2-ubuntu-2004.html]

 

Hyper-V 관리자 활성화 하기(설치)

다만 Win10 Home은 Hyper-v 관리자 지원이 되지 않는 듯?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virtualization/hyper-v-on-windows/quick-start/enable-hyper-v]

 

파워셸 명령을 이용해서 방화벽 열고 포트포워딩 설정해주는 듯?

[링크 : https://jackcokebb.tistory.com/18]

 

+

wsl --shutdown

명령을 이용해서 wsl을 종료할 수 있다.

[링크 : https://sungkim11.medium.com/why-you-should-use-multiple-instances-of-same-linux-distro-on-wsl-windows-10-f6f140f8ed88]

 

+

hyper-v 관리자를 쓸 수 없다면

명령줄로 간접적으로 제어만 가능하지, 편리하게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구동하는 식으로는 사용이 쉽지 않을 듯..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dependency walker  (0) 2022.02.18
winPE format  (0) 2022.02.1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22. 11. 22. 10:56

그래프를 그릴때 두가지 정보에 대해서 분산형으로 그리고

 

그래프 우측에 +를 눌러 추세선을 추가하고

 

대충 주물주물 하면 나오긴 한데..

의도한 만큼 정확하게 추정은 쉽지 않은 듯..

[링크 : https://jungwonlab.tistory.com/entry/엑셀Excel에서-데이터를-선형-n차-근사-및-피팅-값-구하기slope-intercept-index-linest]

'Microsoft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 서식 복사해서 붙여넣기  (0) 2021.07.20
MS word 그림/표 목차  (0) 2020.11.23
MS Word 그림목차  (0) 2020.11.16
엑셀 배열수식  (0) 2019.12.08
엑셀 SUMPRODUCT()  (0) 2019.12.0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vscode2022. 11. 4. 12:34

왜 갑자기 안되나 했더니.. 망할 아래한글 -_-

얘는 나이를 먹어 갈수록 좋아질 이유가 점점 사라지네

 

[링크 : https://brunch.co.kr/@princox/222]

[링크 : https://usingu.co.kr/frontend/vscode/vscode-주석-단축키ctrl-가-안될-때/]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2. 8. 1. 16:17

업데이트 되고 나더니 기존에는 jpg로 받던게 dng 라는 이상한(?) 확장자로 받는다.

 

찾아보니 RAW 포맷이라고.

DNG(Digital Negative)는 디지털 사진에 사용되는 RAW 파일 포맷 으로, TIFF 6.0 포맷을 기준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adobe.com/kr/creativecloud/file-types/image/raw/dng-file.html]

 

원본은 4016x3008의 23.55MB jpg 일텐데

저장된 파일은 684x512 194KB

어딜봐서  RAW 라고 봐야하는거냐 -_-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첫 WSL 설치  (0) 2023.01.07
dependency walker  (0) 2022.02.18
winPE format  (0) 2022.02.18
윈10 탐색기 복수 확장자 검색하기  (0) 2021.11.22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2. 2. 18. 14:05

리눅스에서 ldd를 통해 연결된 라이브러리를 조회하듯

윈도우에서 실행 파일의 의존 라이브러리를 확인하는 유틸리티

 

[링크 : https://www.dependencywalker.com/]

[링크 : https://eehoeskrap.tistory.com/64]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2. 2. 18. 12:57

MZ.. 으로 시작하는건 DOS Header

그 아래에 PE로 시작하는게 PE Header

 

PE 헤더는 0x50450000 으로 시작하고 해당 부분이 Signature

그 다음 16비트가 Machine 코드 인데 0x014c 면은 i386용 PE 인듯..

즉. 64bit가 아니라 32bit 용으로 vcruntime을 설치하면 된다는 의미..

[링크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Portable_Executable_32_bit_Structure_in_SVG.svg]

 

AMD64가 64bit, i386이 32bit 프로그램으로 보면 될 듯.

[링크 :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in32/debug/pe-format#machine-types]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