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10. 5. 9. 19:30
일단 부팅이 40초 정도 걸린다.
BIOS에서 넘어가는데 5초 이상 잡는것을 감안하면 순정상태에서 35초 정도의 부팅은
정말 환상적이다! 라고 밖에 표현할수 없다.

부팅용 Kernel 메시지가 23초에 종료된다.
알록달록 프롬프트는 아래의 링크 참조
[링크 : http://ubuntu.textcube.com/65]

테스트(?)에 사용한 내 컴퓨터의 사양
프레스핫 2.66Ghz / 1GB / 80GB HDD / Geforce4 420MX

특이(?)하게도 처음 xterm을 실행하니 위와 같은 알림 메시지가 뜬다.
두번째부터는 뜨지않는 메시지인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쓰지는 않지만) 리눅스용 터미널 프로그램
VNC 부터 윈도우 터미널까지 지원해서 상당히 좋아하는데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다.

상큼한 자주색. 하지만 종료/최소화/최대화 버튼이 왼쪽으로 옮겨져 조금 어색하다

기본적으로 변경된 사항

xterm
1. .bashrc 파일에 기본적으로
    alias ll='ls -al' 이 활성화 되어있음

iBus
1. 한영 변환이 한/영키로 기본 적용됨.

개발환경
build-essential은 빠져 있지만 그래도 gcc 정도는 들어있다.
그리고 manpages-dev가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다. (헉!)
python도 기본설치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XFCE  (0) 2010.05.11
ubuntu 10.04 설치패키지 목록  (4) 2010.05.09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삭제/완전삭제가 모야?  (0) 2010.05.07
Ubuntu 10.04 LTS!  (0) 2010.05.07
udevinfo -> udevadm  (0) 2010.05.0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5. 7. 11:03
Synaptic Package Manager에서 삭제를 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뜬다.


Mark for Removal 과
Mark for Complete Removal

한글로는 아마도..
삭제
완전삭제 였던거 같은데

"Complete / 완전" 이라는 단어 하나로 인해서 혼동을 주고 있는 나쁜 녀석이다 ㄱ-


Ordinary removal is equivalent to "sudo apt-get remove application" using terminal. It removes the software but preserves the configurations files. On your next installation of the same software or a newer version the configuration files will be reused.

Complete removal is equivalent to "sudo apt-get remove --purge application" using terminal. It removes the software and erases the configurations files as well.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388278]

음.. complete가 맞긴하네 -ㅁ-!
아무튼, 완전 삭제는 환경설정 파일까지 전부 삭제하는 것이고
삭제는 환경설정 파일은 남겨두고 프로그램만 삭제하는 것이다.

윈도우 기준으로 말하자면 '삭제' 정도면 충분하고
깔끔이들은 완전삭제를 하면 되겠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설치패키지 목록  (4) 2010.05.09
Ubuntu 10.04 LTS 환상이야!  (0) 2010.05.09
Ubuntu 10.04 LTS!  (0) 2010.05.07
udevinfo -> udevadm  (0) 2010.05.03
apache2 환경설정  (0) 2010.04.0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5. 7. 09:50
뒷북 둥둥둥~


RC(Release Candidate) 나온 글을 봤지만.. 벌써 나올줄이야 -ㅁ-!
하긴.. 2010년 4월 릴리즈 치고는 늦게 나온건가?

이번에는.. 포맷하고 깔까 그냥 업그레이드 할까 -ㅁ-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LTS 환상이야!  (0) 2010.05.09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삭제/완전삭제가 모야?  (0) 2010.05.07
udevinfo -> udevadm  (0) 2010.05.03
apache2 환경설정  (0) 2010.04.03
우분투에 Apache / PHP / Mysql 설치하기  (0) 2010.04.02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5. 3. 18:21
친구녀석이 우분투에서 udevinfo가 없다고 하길래 검색했더니
이런 간단명료한 결론이!

Re: where is udevinfo?
use udevadm instead.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265469]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삭제/완전삭제가 모야?  (0) 2010.05.07
Ubuntu 10.04 LTS!  (0) 2010.05.07
apache2 환경설정  (0) 2010.04.03
우분투에 Apache / PHP / Mysql 설치하기  (0) 2010.04.02
fprintf man page가 왜 없지?!  (0) 2010.03.26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4. 3. 21:31
우분투에서 아파치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기본설정 파일이 생성된다.
htdocs는 /var/www 이고 root:root 권한을 가진다.
drwxr-xr-x  7 root root  4096 2010-04-03 21:18 www

하지만 apache2는 www-data:www-data 권한으로 서버가 실행되고
웹서버는 /var/www에 대하여 other 권한으로 파일을 access 하게된다.
/var/www를 www-data:www-data 로 변경하는게 무난한 방법이 될 듯하다.

# cat /etc/apache2/apache2.conf
144 # These need to be set in /etc/apache2/envvars
145 User ${APACHE_RUN_USER}
146 Group ${APACHE_RUN_GROUP}

# cat /etc/apache2/envvars
  1 # envvars - default environment variables for apache2ctl
  2
  3 # Since there is no sane way to get the parsed apache2 config in scripts, some
  4 # settings are defined via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n used in apache2ctl,
  5 # /etc/init.d/apache2, /etc/logrotate.d/apache2, etc.
  6 export APACHE_RUN_USER=www-data
  7 export APACHE_RUN_GROUP=www-data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LTS!  (0) 2010.05.07
udevinfo -> udevadm  (0) 2010.05.03
우분투에 Apache / PHP / Mysql 설치하기  (0) 2010.04.02
fprintf man page가 왜 없지?!  (0) 2010.03.26
apt 명령어 정ㅋ벅ㅋ  (0) 2010.03.0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4. 2. 23:16
설치 패키지
apache2
mysql-client-5.1
php5

위에 세가지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줄줄이 엮여서 설치된다.



아파치 설정
/etc/apache2/apache2.conf (환경설정파일 경로)
/var/www (기본 설치시 htdocs 경로)

Mysql
기본암호는 설치시에 물어봄
/etc/mysql/my.cnf (환경설정파일 경로)
/var/lib/mysql (데이터경로)

PHP
$ cat index.php
<?
    phpinfo();
?>

[링크 : http://coffeenix.net/board_view.php?bd_code=1684]
[링크 : http://www.yamuzin.com/zbxe/758]
[링크 : http://www.sitepoint.com/forums/showthread.php?t=658149]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ApacheMySQLPHP]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evinfo -> udevadm  (0) 2010.05.03
apache2 환경설정  (0) 2010.04.03
fprintf man page가 왜 없지?!  (0) 2010.03.26
apt 명령어 정ㅋ벅ㅋ  (0) 2010.03.04
우분투에서 /etc/sysconfig/network 에 대응하는 파일  (0) 2010.02.16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3. 26. 22:02
build-essencial을 깔았다고 해서 각종 man page들이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 개발관련 man page는 manpages-dev 패키지에 존재한다.

$ sudo apt-get install manpages-dev

[링크 : https://lists.ubuntu.com/archives/ubuntu-users/2009-May/182747.html]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3. 4. 11:32
Debian 계열은 rpm 대신 deb 을 이용하고 이것을
지능적으로 관리하는게 apt 매니저이다. rpm은 yum이 해주지만 아무튼
상대적으로 apt에 비하면 많이 부족한 느낌이 든다.

아무튼, 간단하게 요약을 하자면
# sudo apt-get update                   로 repository 정보를 갱신하고(서버에서 새로운 버전정보들을 가져온다.)
# sudo apt-cache search 키워드  로 원하는 패키지가 있는지 검색을 한다.
# sudo apt-cache show 패키지     로 패키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그리고 패치등으로 인해 업데이트(일반용어로 사용)를 해야할 프로그램이 있다면
#sudo apt-get upgrade              로 패치된 프로그램을 설치/적용한다.

[링크 : https://help.ubuntu.com/6.10/ubuntu/serverguide/ko/apt-get.html]
2009/09/01 - [Linux/Ubuntu] - apt-cache 패키지 검색 하기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2. 16. 11:05
Redhat 계열인 Fedora의
/etc/sysconfig/network
파일은

Debian 계열인 Ubuntu에서는
/etc/network
에 존재한다.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411202]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2. 5. 20:32
doesn't work ansi escape sequence on ubuntu makefile(make)


$ cat test.sh
#!/bin/bash
echo -e '\E[47;34m'"\033[1mTest\033[0m"

$ cat test.sh
#!/bin/sh
echo -e '\E[47;34m'"\033[1mTest\033[0m" 

위의 결과는 아래의 소스대로, 쉘이 바뀌었다는것 밖에 차이가 없다.
결과는 sh에서 실행된것은 "-e \E[47;34m" 까지 출력되었다.
아마, 우분투의 make 시에 색상이 먹지 않는건 makefile이 기본 쉘로  /bin/sh를 쓰면서
안시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오작동 한것으로 보인다.

해결방법은 makefile 내에
SHELL=/bin/bash 를 추가하는 것이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 명령어 정ㅋ벅ㅋ  (0) 2010.03.04
우분투에서 /etc/sysconfig/network 에 대응하는 파일  (0) 2010.02.16
tftp 설정경로  (0) 2010.02.05
sudo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기  (0) 2010.02.04
우분투 사용자 자동로그인  (0) 2010.02.04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