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11. 1. 21. 18:08
Win7 에서 IP 관련 속성을 보면 IPv4와 IPv6 가 별도로 존재한다.

IPv4는 예전에 보아오던 점 찍힌 녀석이고

IPv6는 일반 에디트박스를 사용한 생소한 모습이다.
게다가 서브넷도 좀 먼가 달라졌다!

아무튼, 아이피 정보를 확인함녀 아래와 같이 IPv6는  4자리씩 : 으로 구분이 되며 총 8 개로 구성이 된다.
개별 단위는 16bit씩 총 128bit의 주소체계이다.
2^6 = 128 이니까 IPv6는 128 비트 일려나?!

C:> ipconfig /all
터널 어댑터 Teredo Tunneling Pseudo-Interface:

   연결별 DNS 접미사. . . . :
   설명. . . . . . . . . . . . : Teredo Tunneling Pseudo-Interface
   물리적 주소 . . . . . . . . : 00-00-00-00-00-00-00-E0
   DHCP 사용 . . . . . . . . . : 아니요
   자동 구성 사용. . . . . . . : 예
   IPv6 주소 . . . . . . . . . : 2001:0:4137:9e76:1088:3dfd:827b:6a0e(기본 설정)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1088:3dfd:827b:6a0e%20(기본 설정)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
   Tcpip를 통한 NetBIOS. . . . : 사용 안 함

the Microsoft Windows IPv6 stack uses numeric zone indexes, e.g., fe80::3%1.
The index is determined by the interface number;
most Unix-like systems (e.g., BSD, Linux, Mac OS X) use the interface name as a zone index: fe80::3%eth0.

링크-로컬 주소의 경우 장비 번호라는데 20번이라니 -ㅁ-!



결론 : IPv6 는 자릿수가 많아서 사람이 외우기는 무리겠다!
         8bit . 8bit . 8bit . 8bit 총 32비트의 숫자 도 외우기 힘든데
         16bit : 16bit : 16bit : 16bit : 16bit : 16bit : 16bit : 16bit 의 128비트 게다가 16진수 어떻게 외워!!

결론2: IP / DNS / Gateway 역시 128비트가 되어야 하며
          Subnet은 IP에 포함되어 적혀지게 된다.

예측 : 미래에는 고정아이피가 역설적으로 의미가 없어질 듯 -_-
         일일이 고정아이피 넣는게 더 힘들어서 항상 자동으로 할당할 것 같은 기분.jpg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XP에서 파일공유가 안될경우  (0) 2011.03.22
hiberfil.sys 위치는 못 옮겨!  (0) 2011.03.07
windows 7/vista 잘못된 EDID 바로잡기  (2) 2011.01.07
wowexec.exe  (2) 2010.12.25
win7에 이런 기능이?  (0) 2010.12.11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1. 1. 7. 13:11
애인네 컴퓨터가 해상도 말썽을 부려 한번 봤더니 해결불가 -_-
모니터가 "비 PnP 장비"로 잡혀있고 이걸 1280x1024 디지털 평면 디스플레이로 바꾸고 리부팅을 해도
그래픽 카드에서 EDID 정보를 잘 못 받았는지, 1280x720이 최고 해상도로 잡힌다 -_-

아래의 문서대로 따라하려고 해도 말이 모호해서
(실은 이해하기 귀차니즘 -_-) 해결은 못했는데

아무튼 리눅스와 마찬가지로 VISTA 이후 부터는 EDID 정보에 따라 해상도가 결정되므로
EDID정보가 잘못되었다면 해결하기는 상당히 막막해 보인다.

아래의 ms문서는 EDID 정보를 override 한다는데
리눅스에서 EDID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고 장비의 EDID정보를 무시하고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해 보인다.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berfil.sys 위치는 못 옮겨!  (0) 2011.03.07
IPv6  (2) 2011.01.21
wowexec.exe  (2) 2010.12.25
win7에 이런 기능이?  (0) 2010.12.11
IE에서 FTP 접속이 안될경우  (4) 2010.11.10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12. 25. 12:18
예전부터 봐오던 넘이지만, 약자도 모르고 그냥 머하는 넘일지만 추측만 했지 찾아볼 생각도 안한녀석 -_-
아무튼 32bit 버전으로 태어난 winXP 계열에서 16bit 호환을 위해 사용하는 녀석이라
win95 시절의 16bit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할때 보면
프로세스 트리가

wowexec.exe
     setup.exe

이런식으로 생성이 된다.

약어는 아래 에서 처럼 두가지가 가장 많이 쓰이는 듯하다.
Windows on Windows Executable environment process, or more specifically Win16 on Win32 - it runs on Windows NT4/2000/XP/2003. WOWEXEC is started by NTVDM. As explained elsewhere on these pages, NTVDM is itself started every time you run a 16-bit program (this may be a DOS program, a Windows 3.1 program, or even a program designed for Windows 9x/NT4 but which has a mixture of 16-bit and 32-bit programming code).

[링크 : http://searchtasks.answersthatwork.com/tasklist.php?File=WOWExec]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2) 2011.01.21
windows 7/vista 잘못된 EDID 바로잡기  (2) 2011.01.07
win7에 이런 기능이?  (0) 2010.12.11
IE에서 FTP 접속이 안될경우  (4) 2010.11.10
windows7 과 WinXP 파일 공유  (7) 2010.10.21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12. 11. 10:20
창을 닫다가 이상한 창이 자꾸 뜨길래 무슨 키가 잘못눌렸나 했더니
Win+F4 ...



삼성 센스 계열의 추가기능인지 win7 기능인지 모르겠지만 암튼 신기한 단축키 -_-
(실은 짜증난다고!!!!)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11. 10. 12:37
FTP는 두개의 포트를 사용한다. 하나는 컨트롤 다른 하나는 데이터이다.
접속시에는 컨트롤 포트인 21번을 이용하고, 데이터는 20번 포트를 주로 사용하는데

표준모드 FTP의 경우는 20번을 사용하지만
수동모드 FTP의 경우 1024~5000번 중에 사용하기 때문에

IE에서는 기본적으로 표준모드로 작동하므로 수동모드 FTP 서버로는 접속이 안된다.
(그래서 알FTP로 접속시 IE는 맨날 목록이 안온건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옵션에서
"방화벽 및 DSL 모뎀과 호환되는 수동 FTP 사용"의 체크를 꺼주면된다.


아래는 MS사의 정보이다.
이 문서에서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PORT 모드와 PASV 모드를 모두 사용하도록 Internet Explorer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FTP는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합니다. 이들 모드는 각각 표준(또는 PORT나 능동)과 수동(또는 PASV)이라고 합니다. 표준 모드 FTP 클라이언트는 PORT 명령을 FTP 서버에 보냅니다. 수동 모드 클라이언트는 PASV 명령을 FTP 서버에 보냅니다. 이러한 명령은 FTP 세션을 설정할 때 FTP 명령 채널을 통해 보내집니다.

표준 모드 FTP 클라이언트는 먼저 FTP 서버의 TCP 포트 21에 연결을 설정합니다. 그러면 이 연결이 FTP 명령 채널을 설정합니다. FTP 클라이언트가 폴더 목록이나 파일 같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야 할 때는 클라이언트가 FTP 명령 채널을 통해 PORT 명령을 보냅니다. PORT 명령에는 FTP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연결에 사용하는 포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준 모드에서는 FTP 서버가 항상 TCP 포트 20에서 데이터 연결을 시작합니다. FTP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때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연결을 새로 열어야 합니다. 또한 FTP 클라이언트도 PORT 명령을 다시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연결을 새로 열도록 요청합니다.

수동 모드 FTP 클라이언트도 먼저 FTP 서버의 TCP 포트 21에 연결을 설정해서 제어 채널을 만듭니다. 클라이언트가 명령 채널을 통해 PASV 명령을 보내면 FTP 서버는 임시 포트(1024 - 5000)를 열고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기 전에 해당 포트에 연결하도록 FTP 클라이언트에 알립니다. 표준 모드와 마찬가지로 전송 전에 FTP 클라이언트에서 새로 PASV 명령을 보내야 하며 FTP 서버는 전송이 이루어질 때마다 새 포트에서 연결을 기다립니다.

FTP 클라이언트나 서버 중 한 곳의 방화벽 구성에 따라 FTP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모드를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이상은 표준 모드와 수동 모드를 모두 지원합니다.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323446/ko]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10. 21. 14:31
Windows 7 쪽에서 네트워크 위치 설정을
"홈 네트워크"가 아닌 "회사 네트워크"로 설정하면 XP와 별다른 문제없이 잘 공유가 된다.

"홈 네트워크"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은 네트워크 암호 입력 창이 뜨게 되는데
윈도우 파일 공유 기본 로그인인 guest로 해도 접속이 되지 않는다.


결론 : 회사 네트워크 만세

[링크 : http://shinb.tistory.com/30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9. 21. 17:05
부모님 댁에는 인터넷이 안된다.
그래서 핸드폰 USB 테터링을 한 녀석을 통해 노트북을 무선 공유기처럼 만들려고 한다.
솔찍히.. 유선공유기로 만드는건 매우 편한데, 무선은 조금 번거롭다.

Step 1. 원하는 유선혹은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공유한다.
Step 2. 무선 네트워크 어탭터에서 연결할 네트워크를 추가한다
           추가시에는 "컴퓨터 간(특별) 네트워크이며 무선 액세스 지점을 사용 안 함" 을 선택한다.
           암호는 취향에 따라 설정! (난 구차니즘 -_-)


Step 3. 무선 공유기가 되려는 쪽 노트북에서, 설정한 SSID로 연결을 한다.
           "요청 시" 라고 나온 녀석으로 아이콘도 다르게 나온다.

Step 4. 다른 pc에서 사용하려면, 위의 SSID로 연결하면된다.

아무튼, 가뜩이나 느린 핸드폰 인터넷을 나눠쓰니 속도가 환상적인듯 ㅋㅋ

[링크 : http://pangate.com/433]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9. 16. 18:53
.... 이거 먼가 ... 기분이 이상해!


웬지 껐다켜면 안될꺼 같은 기분이 들잖아!!!!

결론 : 그냥 UAC 쓰고 네이트온 원격을 포기하자 =_=
[링크 : http://jwmx.tistory.com/1824]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9. 10. 10:22
XP에서는 불가능했던 일이 VISTA 부터는 가능해졌다 -ㅁ-
일단 파티션 매직과 같은 3rd party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파티션의 크기를 조절 가능했는데
비스타 부터는 diskpart 라는 커맨드 라인 도구나, 관리도구에서 GUI 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Step 1. 관리 에서 저장소 - 디스크 관리를 열고
           원하는 파티션을 선택후 우클릭 메뉴에서 "볼륨 축소"를 선택한다.

Step 2. 파티션을 조절가능한지 확인한다. (꽤 시간이 오래 걸림)

Step 3. 공간 쿼리가 끝나면, 축소 가능한 공간이 나온다.



아래는 위의 "기본 볼륨 축소" 항목의 도움말이다.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976078/ko]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9. 8. 18:30
XPmode 란거 이름만 듣다가, win7으로 갈아타고 깔아볼려 하니..
홈 프 따윈 꺼져주셈~! 이라고 뒤늦게 외쳐주는 마소같은 넘들 우씨!

[링크 : http://www.microsoft.com/windows/virtual-pc/download.aspx]

아무튼, XPmode 의 장점은 바로 라이센스가 없어도 된다는 점!
회사에서 정품을 쓰도록 하다보니, 아무래도 가상머신에서 돌아가는 OS도 돈이 지불되어야 하나 걱정이 되는데
Win7 Ultimate에 들어있는 XPmode의 guest OS인 WinXP에는 라이센스비가 들지 않는다고 한다.
(조금 더 조사는 해봐야겠지만... 내가 울티메이트가 아닌데 머 ㄱ-)

[링크 : http://arrestlove.tistory.com/218]
[링크 : http://purewell.biz/4537747]
[링크 : http://ctrl21c.spaces.live.com/Blog/cns!DAB17B956D061FBA!121.entry]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