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17. 1. 9. 17:33

나중에 한번 실험은 해봐야겠네


ctrl - win - ←

ctrl - win - →

ctrl - alt - ←

ctrl - alt - →



$ sudo apt-get install compizconfig-settings-manager wmctrl

[링크 : http://www.omgubuntu.co.uk/2009/11/aero-snap-ubuntu-linux]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8701/windows-7-like-snap-window-maximize-and-vertical-feature]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limit / resource quota  (0) 2017.02.15
우분투 루트 인증서 업데이트 내역  (0) 2017.01.18
crontab 과 cron 서비스 reload  (0) 2017.01.04
우분투에서 lamp / apm 설치 간편하게..  (0) 2016.12.29
ubuntu 16.04 설정관련  (0) 2016.11.1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7. 1. 4. 15:11

일단.. crontab 파일이 바뀌면 자동으로 읽어 들이지만..

logrotate의 경우 는 crontab 파일에 있는게 아니니.. 다시 읽어 들이지 않으려나?

아니면 내가 설정을 잘못해서 apache 로그가 daily에서 monthly로 바꾼게 적용되지 않았던 걸까?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0193788/restarting-cron-after-changing-crontab-file]

[링크 : http://unix.stackexchange.com/questions/116136/how-to-make-log-rotate-change-take-effect]


생각해 보니까.. /etc/cron.daily에 있으니 맨날 실행되겠...지? 설정이 monthly라도?

[링크 : http://blueskai.tistory.com/101]

Posted by 구차니
Linux2017. 1. 1. 07:19

stat으로는 시간을 볼 수 있낀한데 birth 까진 보기 힘들고

ext4에서는 저장은 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posix에서는 atime ctime mtime으로

마지막 접근 / 변경 / 수정 시간 정도 만 나오고


파일 시스템에서 값을 뺴내야 한다.

$ stat sshd_config

  File: ‘sshd_config’

  Size: 2551            Blocks: 8          IO Block: 4096   regular file

Device: b302h/45826d    Inode: 110939      Links: 1

Access: (0644/-rw-r--r--)  Uid: (    0/    root)   Gid: (    0/    root)

Access: 2017-01-01 07:05:20.413654980 +0900

Modify: 2017-01-01 07:05:20.413654980 +0900

Change: 2017-01-01 07:05:20.433654929 +0900

 Birth: - 


$ sudo debugfs -R "stat /etc/ssh/sshd_config" /dev/mmcblk0p2

debugfs 1.42.12 (29-Aug-2014)


Inode: 110939   Type: regular    Mode:  0644   Flags: 0x80000

Generation: 2068774389    Version: 0x00000000:00000001

User:     0   Group:     0   Size: 2551

File ACL: 0    Directory ACL: 0

Links: 1   Blockcount: 8

Fragment:  Address: 0    Number: 0    Size: 0

 ctime: 0x58682ba0:67643244 -- Sun Jan  1 07:05:20 2017

 atime: 0x58682ba0:629f7f10 -- Sun Jan  1 07:05:20 2017

 mtime: 0x58682ba0:629f7f10 -- Sun Jan  1 07:05:20 2017

crtime: 0x58682ba0:629f7f10 -- Sun Jan  1 07:05:20 2017

Size of extra inode fields: 32

EXTENTS:

(0):1031812

(END) 


읭? 왜 ctime와 crtime이 같지?


[링크 : http://webdir.tistory.com/236]

[링크 : http://unix.stackexchange.com/questions/91197/how-to-find-creation-date-of-fil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지 mac address 얻기  (0) 2017.03.13
리눅스 쉘에서 시리얼 포트로 쓰기  (0) 2017.02.15
ctime mtime.. 엌?!  (0) 2016.12.31
base64 유틸리티  (0) 2016.12.28
리눅스 런레벨  (0) 2016.12.12
Posted by 구차니
Linux2016. 12. 31. 10:10

ctime이 create가 아니라 change네..(inode)

mtime은 modify time


[링크 : http://onecellboy.tistory.com/223]

[링크 : https://www.unixtutorial.org/2008/04/atime-ctime-mtime-in-unix-filesystems/]

$ man ls

       -c     with -lt: sort by, and show, ctime (time of last modification of file status information); with -l: show ctime and sort by  name; otherwise: sort by ctime, newest first 

       -u     with  -lt:  sort by, and show, access time; with -l: show access time and sort by name; otherwise: sort by access tim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쉘에서 시리얼 포트로 쓰기  (0) 2017.02.15
리눅스 파일 시간관련  (0) 2017.01.01
base64 유틸리티  (0) 2016.12.28
리눅스 런레벨  (0) 2016.12.12
yaffs2 / ext4 비교?  (0) 2016.11.0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6. 12. 29. 09:45

매번 하나하나 깔았는데 흑...


To install the default LAMP stack in Ubuntu 10.04 and above

First refresh your package index...


$ sudo apt-get update

... and then install the LAMP stack:


$ sudo apt-get install lamp-server^

Mind the caret (^) at the end.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ApacheMySQLPHP]

   [링크 : http://www.wikihow.com/Create-a-Secure-Login-Script-in-PHP-and-MySQL]


+

어라.. 라즈베리에서는 안되는데?!?

$ sudo apt-cache search lamp

air-quality-sensor - user space driver for AppliedSensor's Indoor Air Monitor

evolvotron - Generator of textures through interactive evolution

ruby-clamp - minimal framework for Ruby command-line utilities

xscreensaver-data - Screen saver modules for screensaver frontends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창 관리 - 윈7처럼 창분할 단축키  (0) 2017.01.09
crontab 과 cron 서비스 reload  (0) 2017.01.04
ubuntu 16.04 설정관련  (0) 2016.11.14
fcitx-hangul  (0) 2016.11.14
xwindow 가상 터미널 비활성화 하기  (2) 2016.10.11
Posted by 구차니
Linux2016. 12. 28. 11:12

리눅스에 포함되서 편하군


$ base64 --help

Usage: base64 [OPTION]... [FILE]

Base64 encode or decode FILE, or standard input, to standard output.


  -d, --decode          decode data

  -i, --ignore-garbage  when decoding, ignore non-alphabet characters

  -w, --wrap=COLS       wrap encoded lines after COLS character (default 76).

                          Use 0 to disable line wrapping


      --help     이 도움말을 표시하고 끝냅니다

      --version  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끝냅니다


<파일>이 주어지지 않거나 - 이면 표준 입력을 읽습니다.


데이터는 RFC 3548에 서술된 방식대로 base64 알파벳으로 인코딩됩니다.

디코딩할 때 입력은 공식적인 base64 알파벳과 함께 newline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코딩된 스트림에서 알파벳이 아닌 문자열을 복구하려면 --ignore-garbage 옵션을 이용하십시오.


Report base64 bugs to bug-coreutils@gnu.org

GNU coreutils 홈 페이지: <http://www.gnu.org/software/coreutils/>

GNU 소프트웨어 사용에 관련된 전반적인 도움을 얻기: <http://www.gnu.org/gethelp/>

Report base64 translation bugs to <http://translationproject.org/team/>

For complete documentation, run: info coreutils 'base64 invocation' 


$ echo '내용들..' | base64 --decode > savename.fil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파일 시간관련  (0) 2017.01.01
ctime mtime.. 엌?!  (0) 2016.12.31
리눅스 런레벨  (0) 2016.12.12
yaffs2 / ext4 비교?  (0) 2016.11.04
dri drm ddx  (0) 2016.10.23
Posted by 구차니
Linux2016. 12. 12. 15:31

우분투에서 정상 기동했는데 런레벨이 2라고 뜨길래 허허헉?! 하면서 검색해보니

레드햇의 런레벨과는 좀 다른 구분을 한다고 한다.

$ runlevel

N 2 


아무튼 우분투는 1은 싱글 2는 멀티/GUI

레드햇은 3은 싱글 5는 멀티

[링크 : http://zetawiki.com/wiki/리눅스_런레벨]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ime mtime.. 엌?!  (0) 2016.12.31
base64 유틸리티  (0) 2016.12.28
yaffs2 / ext4 비교?  (0) 2016.11.04
dri drm ddx  (0) 2016.10.23
fdisk 파티션이 2048 부터 시작하는 이유  (0) 2016.10.22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6. 11. 14. 19:26

정리 잘 된 블로그 있어서 링크


[링크 : http://logon.tistory.com/391]


grub update

$ sudo vi /etc/default/grub

$ sudo update-grub


avahi disable

$ sudo /etc/default/avahi-daemon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tab 과 cron 서비스 reload  (0) 2017.01.04
우분투에서 lamp / apm 설치 간편하게..  (0) 2016.12.29
fcitx-hangul  (0) 2016.11.14
xwindow 가상 터미널 비활성화 하기  (2) 2016.10.11
linux console disable on runtime  (0) 2016.10.11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6. 11. 14. 19:23

ibus는 한불 간건가?


[링크 : http://geekcoders.tistory.com/entry/Ubuntu-1604-fcitx-한글-설정]

[링크 : http://packages.ubuntu.com/trusty/utils/fcitx-hangul]


+

odroid u3 16.04에서 ibus 대신에 fcitx 하는데  빠르게 입력하고 공백을 넣어도 문제없이 잘 입력된다.

나중에 문제되면 nimf로 갈아타봐야지 일단은 귀찮...


여기서는 fcitx도 문제가 있으니 nimf로 하라고 하네..

[링크 : http://logon.tistory.com/391]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서 lamp / apm 설치 간편하게..  (0) 2016.12.29
ubuntu 16.04 설정관련  (0) 2016.11.14
xwindow 가상 터미널 비활성화 하기  (2) 2016.10.11
linux console disable on runtime  (0) 2016.10.11
linux cpu hotplug  (0) 2016.10.11
Posted by 구차니
Linux2016. 11. 4. 17:16

간단하게 정리하면..

eMMC 쓰면 ext4 써도 무난(eMMC에서 셀 관리 하니)

NAND에서는 yaffs가 무난(NAND는 셀 관리 기능이 없으므로)


다만. 안드로이드에서 2.3 버전 이후 바꾼 이유는

성능 저하로 인해(yaffs가 single thread라는데 무슨 의미인지..) 그렇다고


 The problem with YAFFS, T'so explained in his blog entry, is that it is single-threaded and would likely "have been a bottleneck on dual-core systems." Concurrency will be important on next-generation Android devices that use multi-core ARM processors.


[링크 : http://arstechnica.com/.../2010/12/ext4-filesystem-hits-android-no-need-to-fear-data-loss/]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3946910/what-file-system-does-android-use]

[링크 : https://kldp.org/node/137454]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e64 유틸리티  (0) 2016.12.28
리눅스 런레벨  (0) 2016.12.12
dri drm ddx  (0) 2016.10.23
fdisk 파티션이 2048 부터 시작하는 이유  (0) 2016.10.22
hostname을 이용한 자신의 아이피 받아오기  (0) 2016.10.1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