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10. 10. 29. 15:36
해상도가 GR이 되는 바람에 -_-
원격으로 실행을 하려니 실행파일 이름을 모르는 상황발생!
아무튼 작업관리자에서 보니
 nm-connection-editor
였군! 젠장!


아래는 일반권한과 sudo를 이용하여 root로 실행한 화면의 차이이다.
sudo를 해야지 편집이 가능해진다 -_-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0. 29. 15:20
dos2unix 가 설치가 안되서 부랴부랴 검색 -_-
근데 인증할수 없다라... 무서운 경고를 내뱉진 말란 말이야!

$ sudo apt-get install tofrodos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tofrodos
0개 업그레이드, 1개 새로 설치, 0개 지우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20.4k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86.0k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경고: 다음 패키지를 인증할 수 없습니다!
  tofrodos
확인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시겠습니까 [y/N]? Y
받기:1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main tofrodos 1.7.8.debian.1-2 [20.4kB]
내려받기 20.4k바이트, 소요시간 0초 (31.5k바이트/초)
전에 선택하지 않은 tofrodos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50066개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tofrodos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tofrodos_1.7.8.debian.1-2_i386.deb에서) ...
man-db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tofrodos (1.7.8.debian.1-2) 설정하는 중입니다 ...

근데.. dos2unix는 아니고
fromdos / todos 두가지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_-

SYNOPSIS
fromdos [ options ] [file...]
todos [ options ] [file...]

[링크 : http://linux.math.tifr.res.in/manuals/man/unix2dos.html]

[링크 : http://funkylocker.tistory.com/entry/우분투-dos2unix]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0. 29. 10:07
system-config-samba 프로그램에서
아래와 같이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허가" 를 선택을 하고 공유하면
Win7이던 VISTA던 XP던 상관없이 아무나 삭제/추가/수정을 할수있게 공유된다.


위와같이 공유하면 samba에서 nobody:nogroup 유저/그룹으로 파일을 생성한다.
$ ls -al
합계 44
drwxrwxrwx 5 root     root      4096 2010-10-29 09:15 ./
drwxr-xr-x 4 root     root      4096 2010-10-28 14:42 ../
drwxr-xr-x 4 nobody   nogroup   4096 2010-10-28 18:17 docs/
drwxr-xr-x 4 nobody   nogroup   4096 2010-10-28 17:28 free program/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0. 28. 15:50
"연결을 받아들이도록 자동 네트워크 설정" 을 선택하면 VNC 접속시 암호를 물어보지 않게 설정이 된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10. 5. 17:47
리눅스에서는 매직패킷을 어떻게 보내는지,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 궁금했는데
ether-wake 라는 프로그램이 존재한다고 한다.

 ether-wake - A tool to send a Wake-On-LAN "Magic Packet"
 ether-wake [options] Host-ID

[링크 : http://linux.die.net/man/8/ether-wake]

[링크 : http://gsd.di.uminho.pt/jpo/software/wakeonlan/mini-howto/wol-mini-howto-3.html]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9. 21. 01:20
시냅틱 패키지로 받아서 설치했는데, 어디서 이 버전 정보가 묻어 온걸까?

./.config:3:# Linux kernel version: 2.6.32.15+drm33.5
./.config:73:CONFIG_VERSION_SIGNATURE="Ubuntu 2.6.32-24.42-generic 2.6.32.15+drm33.5"
./Makefile:4:EXTRAVERSION = .15+drm33.5
./include/config/auto.conf:3:# Linux kernel version: 2.6.32.15+drm33.5
./include/config/auto.conf:955:CONFIG_VERSION_SIGNATURE="Ubuntu 2.6.32-24.42-generic 2.6.32.15 drm33.5"
./include/config/auto.conf.cmd:519:ifneq "$(KERNELVERSION)" "2.6.32.15+drm33.5"
./include/config/kernel.release:1:2.6.32.15+drm33.5
./include/linux/utsrelease.h:1:#define UTS_RELEASE "2.6.32.15+drm33.5"
./include/linux/autoconf.h:3: * Linux kernel version: 2.6.32.15+drm33.5
./include/linux/autoconf.h:956:#define CONFIG_VERSION_SIGNATURE "Ubuntu 2.6.32-24.42-generic 2.6.32.15+drm33.5"

아마.. 최초의 녀석인 Makefile에 기본으로 들어있던 정보 같은데.
이녀석 때문에 /lib/modules에 설치되는 경로도 달라졌고, 그로인해 mkinitramfs 까지 문제가 줄줄이 생겼다.

다음부터는 반드시.. Makefile 에서 EXTRAVERSION 이런걸 좀 확인해야겠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21. 00:32
POSIX는 "유닉스 관련 운영체제에 대한 이동성을 위한 표준" 이라고 하지만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이해도 안되는데..

POSIX.1


이러한 시스템적인 녀석들에 대한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녀석 검색을 파고 들다보니 예전에 Windows에서 NFS를 사용하는 방법중 하나인 SFU가 떠올랐고
MS Windows에서 POSIX를 지원하는 내용을 봤던게 떠올랐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OSIX]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soft_POSIX_subsystem[]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soft_Windows_Services_for_UNIX]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324055]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 Download Windows Services for UNIX v3.5

물론 POSIX를 지원한다고 해서, 바이너리 수준의 호환성을 지원하는게 아니라
리눅스의 ELF 실행 파일들을 윈도우에서 실행할수도 있는게 아닌데
왜 MS Windows에서 POSIX를 지원하고 그걸 따르려는지는 조금 의문이었다.
(물론 미국정부 입찰시 정부 요구사항으로 POSIX 호환을 요구했다지만..)
FIPS -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Federal_Information_Processing_Standard]

개인적으로는 윈도우의 POSIX 를 따르는 것 중 하나가
NT 커널로 오면서 Program Files / Windows / Documents and Users 등의 File system hierachy 등부터
사용자 관리 등을 포함하는게 아닐까 싶었는데 음.. 이것과는 좀 다른것 같기도 하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21. 00:19
애플 빠돌이인 후배에게 MacosX가 좋아?
라는 질문에 문득 맥은 어떤 커널구조인가 호기심 발동.

일단 Mac의 커널은 NeXTstep의 영향으로 micro kernel을 받아들이고 있고,
퍼포먼스 측면의 문제로, 일부는 모노리딕 커널의 형태를 지닌, 결과론적으로 '하이브리드 커널' 형태를 지니고 있다.


모노리딕 커널은 현재 Linux 에서 채용하고 있는 커널의 구조이며,
모든 OS의 기능을 커널 영역(kernel space <-> user spcae)에서 관리자 모드(supervisor mode)로 구동한다.
 A monolithic kernel is a kernel architecture where the entire operating system is working in the kernel space and alone as supervisor mode.

이에 반해, 마하 커널은
최소한의 기능만을 커널 영역에서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며, 나머지 기능들을 유저 모드에서 실행을 한다.
다르게 말하면, 사용자별로 분리되어 작동하므로 커널을 침범하지 않아 보안의 문제가 줄어들며
개별유저가 시스템 전체를 망가트릴 정도로 문제가 확대되지 않는 구조적인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는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에 부하가 많아지므로 전체성능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The microkernel approach consists of defining a simple abstraction over the hardware, with a set of primitives or system calls to implement minimal OS services such as memory management, multitasking, and inter-process communication. Other services, including those normally provided by the kernel, such as networking, are implemented in user-space programs, referred to as servers. Microkernels are easier to maintain than monolithic kernels, but the large number of system calls and context switches might slow down the system because they typically generate more overhead than plain function calls.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리눅스의 경우 Xwindow와 같은 그래픽 계열은
전부 User spcae에서 돌리는데 이로 인해 초기의 Xwindow는 MS Windows에 비하면 상당히 반응속도도 느렸는데
이는 리눅스는 monolithic kernel + user space Xwindow application 조합이었고
윈도우즈는 커널과 그래픽 부분이 결합되었기 때문에 통신에 대한 부하가 적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리눅스는 가벼운 커널을 유지한 반면, MS Windows는 무거운 커널을 지니게 되었다.

머.. 현재의 시스템은 충분히 빨라졌고 알고리즘의 향상으로
Xwindow나 MS windows나 아주 큰 속도의 차이는 나지 않는것 같기 때문에 굳이 구분할 이유가 있나 싶기도 하다.
아무튼, 결국에는 하이브리드로 수렴하지 않을까 싶다.

[링크 : http://bugtruck.tistory.com/196]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Kernel_%28computing%29]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onolithic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Hybrid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ach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ac_OS_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L on Linux - ether-wake  (0) 2010.10.05
POSIX -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Unix]  (6) 2010.09.21
bash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move to previoud directory  (2) 2010.09.19
mkinitramfs  (0)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19. 21:44
완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때 가끔 이전의 경로로 돌아가고 싶은 때가 있다.
귀찮지만 일일이 치곤했는데, 귀차니즘(실은 모토쿼티에서 일일이 치긴 곤혹이라..) 때문에 다시 찾아보니
간단한 해결 방법이 있었다.

 cd $OLDPWD
 cd -

두가지 모두 bash 쉘에서 작동을 한다.
그래도 cd - 가 타수가 적어지니 더 편한듯!


OLDPWD
The previous working directory as set by the cd command.

[링크 : http://linux.die.net/man/1/bash]

you can go back to the previous directory without having to type in the entire directory path by using the command “cd –”.

[링크 : http://techie-buzz.com/.../how-to-go-back-to-previous-directory...putty.html]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IX -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Unix]  (6) 2010.09.21
커널의 종류(kind of kernels)  (0) 2010.09.21
mkinitramfs  (0)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curl  (0) 2010.09.11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19. 14:04
mkinitramfs는 initrd.img 파일을 만드는 스크립트이다.
$ whereis mkinitramfs
mkinitramfs: /usr/sbin/mkinitramfs /usr/share/man/man8/mkinitramfs.8.gz

$ ll mkinitramfs*
-rwxr-xr-x 1 root root 9588 2010-04-27 00:16 mkinitramfs*
-rwxr-xr-x 1 root root 1931 2010-04-27 00:16 mkinitramfs-kpkg*

$ file mkinitramfs*
mkinitramfs:      POSIX shell script text executable
mkinitramfs-kpkg: POSIX shell script text executable

이 녀석의 인자로는 [version] 이라는 값이 들어가는데,
이 값은, /lib/modules/[version] 값의 경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 mkinitramfs

Usage: /usr/sbin/mkinitramfs [OPTION]... <-o outfile> [version]

Options:
  -d confdir  Specify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directory.
  -k          Keep temporary directory used to make the image.
  -o outfile  Write to outfile.
  -r root     Override ROOT setting in mkinitrd.conf.

See mkinitramfs(8) for further details.

아무튼 나의 경우에는, apt-get으로 받은 우분투 커널 소스를 컴파일 하여 설치된 경로가
/usr/src/linux-source-2.6.32 였고, 컴파일 하여 생성되는 모듈들의 경로는
/lib/modules/2.6.32.15+drm33.5/ 였다. 이런 이유로, uname 으로 출력되는 경로와 다르게 되어
기본값으로 생성되는 initrd.img의 내용에는 modules.dep 파일이 없어서 구동이 되지 않는다.

물론, initrd.img의 크기는 실제 장착된 메모리의 용량을 넘어서지만 않으면 된다고 하지만,
내가 생성해낸 이 파일의 용량은 65M가 되어서 부팅에 조금 오래 걸리고,
약간의 설정상 문제가 있는지 Xwindow가 구동하지 않았다 -_-

기본적인 우분투의 initrd.img의 크기는 7.6M 정도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널의 종류(kind of kernels)  (0) 2010.09.21
bash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move to previoud directory  (2)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curl  (0) 2010.09.11
verbose가 모야?  (4) 2010.07.2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