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odroid2016. 10. 7. 17:39

중고로 개당 만원에 지름

확인해보니..

그냥 SD 처럼 뜨네...

일단은.. 하나는 날려봐야하나? ㅋㅋㅋㅋ




[링크 : http://www.hardkernel.com/main/products/prdt_info.php?g_code=G135393511084[]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u3 와 eMMC 테스트  (0) 2016.10.07
eMMC 부트 파티션 구조(micron)  (0) 2016.10.07
커널에서 로고 띄우는 갯수가...  (0) 2016.10.06
molex 50-37-5043 커넥터 고찰?  (0) 2016.10.06
odroid reboot가 안되는 경우  (0) 2016.10.05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6. 10:16

코어 갯수라던데...

어디서 봤더라?

[링크 : http://forums.rasplay.org/topic/257/.../3]


아무튼.. odroid XU4는 8개 뜨는거 봐서는 맞는 말인듯..

[링크 : https://twitter.com/stefscherer/status/698639315220480000]



라즈베리 파이 2도 산딸기가 4개

odroid U3도 안드로보이 4개라서 .. 문득 궁금..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MC 부트 파티션 구조(micron)  (0) 2016.10.07
odroid eMMC 8GB 지름  (0) 2016.10.07
molex 50-37-5043 커넥터 고찰?  (0) 2016.10.06
odroid reboot가 안되는 경우  (0) 2016.10.05
odroid USB uart  (0) 2016.10.05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6. 09:46

가장 외곽녀석과 중앙 녀석의 길이가 다른거 같은 느낌이 들어서

도면을 보니.

핀과 핀의 거리는 2.5mm


중앙의 핀은 핀의 중앙을 기준으로 1.25mm + 1.25mm 로 되고

최외각 녀석은 1.65mm + 1.25mm 0.4mm 정도 더 크게 된다...

0.4mm 정도야 어거지로 밀어 넣으면 들어 가려나?




[링크 : http://www.molex.com/pdm_docs/sd/050375043_sd.pdf]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eMMC 8GB 지름  (0) 2016.10.07
커널에서 로고 띄우는 갯수가...  (0) 2016.10.06
odroid reboot가 안되는 경우  (0) 2016.10.05
odroid USB uart  (0) 2016.10.05
odroid eMMC 중고 지름  (0) 2016.10.05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5. 20:39

다시 보니..

안드로보이가 4개 안뜨길래

생각을 해보니.. 아.. 커널 업데이트 되면서 그렇구나...


$ sudo odroid-utility.sh 


2 - 1

   ┌──────────────────────────────────────────┐

   │ Main Menu                                │

   │                                          │

   │  1  HDMI Configuration                   │

   │  2  Update your Kernel/Firmware          │

   │  3  Install/Update XBMC (Ubuntu Only)    │

   │  4  Resize your root partition           │

   │  5  Xorg On/Off                          │

   │  6  Rebuild Xorg DDX (fixes ABI errors)  │

   │  7  Change Hostname                      │

   │  10 Pulse Audio Control (on/off)         │

   │                                          │

   │                                          │

   │         <Select>         <Exit>          │

   │                                          │

   └──────────────────────────────────────────┘

   ┌───────────────────────────────────────────────────────────┐

   │ Kernel Update/Configuration                               │

   │                                                           │

   │  1 Update Kernel                                          │

   │  2 Install firmware files to /lib/firmware                │

   │  3 Update boot scripts                                    │

   │  4 Update udev rules for ODROID subdevices (mali, cec..)  │

   │  5 Update the bootloader                                  │

   │  6 Exit                                                   │

   │                                                           │

   │                                                           │

   │              <확인>                <취소>                 │

   │                                                           │

   └───────────────────────────────────────────────────────────┘ 



아무튼 odroid-utility.sh를 통해서 커널을 업데이트(실은 다운그레이드?)하니

정상적으로 리부팅이 된다.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널에서 로고 띄우는 갯수가...  (0) 2016.10.06
molex 50-37-5043 커넥터 고찰?  (0) 2016.10.06
odroid USB uart  (0) 2016.10.05
odroid eMMC 중고 지름  (0) 2016.10.05
odroid eMMC 설정  (0) 2016.10.04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5. 11:14

흐음...


사자니 돈 아깝고...

[링크 : http://www.hardkernel.com/main/products/prdt_info.php?g_code=G134111883934]


2.5mm pitch니까 조금 어거지로 해서 2.54mm 핀헤더로 어떻게 안되려나? ㅠㅠ

[링크 : http://odroid.com/dokuwiki/doku.php?id=en:usb_uart_kit]


커넥터 비싸... ㅠㅠ 망할 몰렉스

[링크 : http://eleparts.co.kr/EPX3G74U]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lex 50-37-5043 커넥터 고찰?  (0) 2016.10.06
odroid reboot가 안되는 경우  (0) 2016.10.05
odroid eMMC 중고 지름  (0) 2016.10.05
odroid eMMC 설정  (0) 2016.10.04
odoroid 지름... 예정?  (0) 2016.10.03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5. 10:51

일단.. 8GB 2개 질러서

둘다 적용해보고

그 다음에... 심심하면(?) sd 어댑터에 연결해서 라즈베리에 해봐야지



[링크 : http://cafe.naver.com/joonggonara/338041369]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reboot가 안되는 경우  (0) 2016.10.05
odroid USB uart  (0) 2016.10.05
odroid eMMC 설정  (0) 2016.10.04
odoroid 지름... 예정?  (0) 2016.10.03
odroid u3 전력소모량 체크  (0) 2016.10.01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4. 13:02

찾아보니.. eMMC는 부트영역이 따로 설정되서 그냥은 못 건드리니

uboot에서 명령을 통해서 설정해야 하는 듯?


일단 SD 메모리만 꽂고(eMMC가 부팅 우선순위를 가지니)

1. 복구 이미지를 SD에 구워서 부팅후 eMMC를 꽂으면 복구

2. uart를 이용해서 uboot에서 "movi init 1" 와 "run copy_uboot_sd2emmc"명령을 통해 복구


Case 1: Using the Recovery image


1.Download Recovery Image file.

2.Unzip with 7-Zip (Windows) or Linux using “xz -d”

3.Prepare a microSD card and flash the attached image. flashing → refer this link

4.Boot with the microSD without eMMC.

5.Turn on U2/U3 and wait a few seconds and blue LED will blink.

6.Plug your eMMC module into U2/U3

7.Plug micro-USB cable into U2/U3 and connect other side to your PC USB host or ODROID's USB host port.

  (This is a trigger to start the recovery)

8.After recovery process (only a few seconds), the blue LED will turn off automatically.

9.Finish. Install OS on your eMMC with as usual.


Case 2 : Boot from SD card and access the eMMC


You need the USB-UART and serial terminal program like a Putty.


1. Boot the board with a Ubuntu SD Card without eMMC.

2. Enter into the u-boot prompt by Enter key or Space key in 3 seconds.

3. Install the eMMC module on the board.

4. Issue a command to connect the eMMC.


Exynos4412 # movi init 1

5. Copy the boot code from SD to eMMC.


Exynos4412 # run copy_uboot_sd2emmc

6. Remove the SD card and power on with the eMMC. The Blue LED should be on by eMMC boot loader.


[링크 : http://odroid.com/dokuwiki/doku.php?id=en:emmc_recovery_u3]


[링크 : http://odroid.com/dokuwiki/doku.php?id=en:emmc_recovery]

    [링크 : http://odroid.com/dokuwiki/doku.php?id=en:emmc_recovery_u3]

    [링크 : http://codewalkerster.blogspot.com/2014/02/how-to-recovery-emmcemmc-50-u-boot-on.html]


링크도 깨져있고..XU4용은 안드로이드고..

그냥 eMMC 구매하는건 포기할까?

웬지 이걸써서 라즈베리에서 SD 리더용 어댑터로 부팅이 안될거 같은데..


+

[링크 : http://codewalkerster.blogspot.com/2014/02/how-to-recovery-emmcemmc-50-u-boot-on.html]

[링크 : http://forum.odroid.com/viewtopic.php?f=53&t=969]

[링크 : http://forum.odroid.com/download/file.php?id=2841] u3용 이미지

exynos4412_emmc_recovery_from_sd_20140629.zip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USB uart  (0) 2016.10.05
odroid eMMC 중고 지름  (0) 2016.10.05
odoroid 지름... 예정?  (0) 2016.10.03
odroid u3 전력소모량 체크  (0) 2016.10.01
odroid 가버너 관련  (0) 2016.09.12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3. 20:26

eMMC 8GB 냐 32GB냐... (중고라서 1만 / 2만.. 고민되네)



일단 스펙상으로는


32Gbyte eMMC Version 5.0 interface from Sandisk. 

Note! Exynos4412 eMMC host version is 4.41


[링크 : http://www.hardkernel.com/main/products/prdt_info.php?g_code=G140489172644]


나중에 쓸만하면... 라즈베리에다가 eMMC 리더 사용해서 SD에 꽂으면 성능이 좀더 오를려나?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eMMC 중고 지름  (0) 2016.10.05
odroid eMMC 설정  (0) 2016.10.04
odroid u3 전력소모량 체크  (0) 2016.10.01
odroid 가버너 관련  (0) 2016.09.12
odroid u3 kernel build  (0) 2016.09.11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1. 18:47

powersave 2.66W

>> kernl -j4 2.67W

>> kernl -j2 2.86W


performance 2.77W

>> kernel -j4 6.3W



음.. 의외로 조금 먹네?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eMMC 설정  (0) 2016.10.04
odoroid 지름... 예정?  (0) 2016.10.03
odroid 가버너 관련  (0) 2016.09.12
odroid u3 kernel build  (0) 2016.09.11
odroid cpufrequtils를 이용한 클럭 조절  (0) 2016.09.11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9. 12. 15:07

개인적으로는

performance가 가장 좋고(당연한가?)

conservative가 부담이 적고 (클럭 다운되지만 빠르게 오르는지 버벅대는 느낌이 적음)

ondemand는 느린 느낌이고

나머지 가버너는 목록에 안떠서.. 나중에 실험을 해봐야 할 듯.



1. Ondemand


이건 다들 알거라 생각합니다. 이가버저의 특징은 수요에 따라 클럭을 조절한다는거죠.수요가 높으면 클럭을 올리고 수요가 낮으면

클럭을 낮추고 이렇기 때문에 베터리 효율도 높고 성능도 무난하게 뽑아줘서 안드로이드 대부분의 기기의 기본 가버너로 설정되어있습니다.(갤넥같은경우 인터렉티브가 기본이더군요;;) 이 가버너는 xda에서 유명한 커널중 하나인 트리니티 커널에서도의 기본가버너로 설정되어있다고 하네요.


8. Pegasusq


ondemand기반으로 만들어진 가버너입니다. 그런데 이 가버너는 특이하게 클럭조절을 

중간클럭까지 골고루 섞어쓰기떄문에

저랑 한분이 한때 ondemand랑 interactive 이두개를놓고 서로 이기반이라 토론을 한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간클럭을 쓰는건 ondemand에다가 hotplug를 섞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가버너가 생성된 배경은 코어가 4개나되는 쿼드코어 엑시노스를 풀가동 동기식으로했다간 폰베터리를 사살하는거밖에 안된다고 생각이든 삼성이 비동기식의 성질을 띄는hotplug를 섞어서 반비동기식형태로 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퍼포먼스와 배터리를 둘다잡은 가버너라 할수있지요. 그래서 요즘 대부분 커스텀 커널에는 듀얼코어용 pegasusq가버너를 추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엄연히 비동기식하고 틀립니다. 

참고로 이런성질때문에 싱글코어에서는 이가버너가

ondemand랑 똑같은 가버너가 되버리니 싱코에선 굳이 이 가버너를 채택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11. Hotplug


이 가버너는 ondemand가버너와 매우 흡사한 가버너라고 합니다. 이 가버너 역시 또한 클럭수 요구에 따락 클럭을 올리고 내리고 한답니다. 하지만 다른가버너와 확연히 차이아는 차이점이있다면 바로 cpu부하가 매우적을때 (예로들어 대기모드일때) cpu하나를 꺼버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베터리를 아깐다고 하네요.


17. Conservative

이 가버너는 최대한 가능하면 저클럭에 머물려하고 하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다르게 표현을 하면 cpu가 클럭을 올리려면 계속 cpu에 부하를 줘야한다네요. 그리고 최소클럭을 사용자가 지정해줄경우 퍼포먼스가 떨어질 수 있다네요. 반대로 최소클럭을 내리면 베터리에는 좋다고 합니다.  


[링크 : http://sonjuhy.tistory.com/entry/가버너에-따른설명]


코드명은 'Pegasus'

여담으로 삼성전자는 쿼드코어 구성이 많다고 생각 하였는지, Ondemand 와 Hot-plug 기반의 가버너를 섞어서 퀄컴의 Qualcomm Krait 시리즈같이 비동기식 비슷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하는 Pegasusq 라는 신종 가버너를 만들어 지원했다

[링크 : https://namu.wiki/w/삼성%20엑시노스?from=엑시노스#s-2.1.2.3]



cpufrequtils 008: cpufreq-info (C) Dominik Brodowski 2004-2009

Report errors and bugs to cpufreq@vger.kernel.org, please.

analyzing CPU 0:

  driver: exynos_cpufreq

  CPUs which run at the same hardware frequency: 0

  CPUs which need to have their frequency coordinated by software: 0

  maximum transition latency: 11.0 us.

  hardware limits: 200 MHz - 2.00 GHz

  available frequency steps: 2.00 GHz, 1.92 GHz, 1.80 GHz, 1.70 GHz, 1.60 GHz, 1.50 GHz, 1.40 GHz, 1.30 GHz, 1.20 GHz, 1.10 GHz, 1000 MHz, 900 MHz, 80z

  available cpufreq governors: userspace, powersave, conservative, ondemand, performance

  current policy: frequency should be within 200 MHz and 1.60 GHz.

                  The governor "ondemand" may decide which speed to use

                  within this range.

  current CPU frequency is 200 MHz (asserted by call to hardware).

  cpufreq stats: 2.00 GHz:0.00%, 1.92 GHz:0.00%, 1.80 GHz:0.00%, 1.70 GHz:0.00%, 1.60 GHz:99.54%, 1.50 GHz:0.00%, 1.40 GHz:0.00%, 1.30 GHz:0.00%, 1.20) 


[링크 : http://odroid.us/mediawiki/index.php?title=Use_cpufrequtils_to_Adjust_Processor_Settings]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oroid 지름... 예정?  (0) 2016.10.03
odroid u3 전력소모량 체크  (0) 2016.10.01
odroid u3 kernel build  (0) 2016.09.11
odroid cpufrequtils를 이용한 클럭 조절  (0) 2016.09.11
odroid mac address의 신비  (0) 2016.09.1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