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mkfs는 DOS로 치자면 format 명령인데
linux에서는 ext2는 이제 잘 안쓰고 ext3를 주로 쓴다.
흥미롭게도 mkfs 과정중에 mkfs.ext2 와 mkfs.ext3 의 결과의 차이가 한줄 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는 자동으로 체크하는 mount 횟수의 차이도 있다.
[root@localhost mnt]# mkfs.ext2 /dev/sda2 mke2fs 1.39 (29-May-2006)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3842720 inodes, 7679070 blocks 383953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0 235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1635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Writing inode table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39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
[root@localhost mnt]# mkfs.ext3 /dev/sda3 mke2fs 1.39 (29-May-2006)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2093056 inodes, 4178908 blocks 208945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4282384384 128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1635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32768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28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
사진 :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존재 유무 확인하기(how to check existence of file on C,linux) (2) | 2008.12.16 |
---|---|
execl() - excute a file (0) | 2008.12.08 |
fork : Not Enough Memory (2) | 2008.12.08 |
mkfs - ext2 & ext3 (4) | 2008.11.21 |
SRM - Secure RM (0) | 2008.11.10 |
리눅스에서 디렉토리 이름 변경시 주의사항 (2) | 2008.11.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런 세세한 부분까지도 살펴보시는군요.
2008.11.21 16:44 [ ADDR : EDIT/ DEL : REPLY ]전 대충 훝어보는지라..
저에겐 꼼꼼한면이 좀 필요한데 말이죠 ㅠㅠ
저도 오늘 일이 있어서 ext2 / ext3를 포맷해야 하는 일이 생겨서 포맷하다가 문득 무슨 차이가 있나 궁금해서 캡쳐 한 뒤 비교를 해보고야 알았답니다. 일단 포맷하고 느낀건 의외로 두개의 메시지 차이점이 없다는 것이었거든요. ext3가 ext2의 확장이고 journaling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점을 안다면 놀랍지도 않은 사항일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드네요(만년 컴맹이라서요 ^^;)
2008.11.21 17:07 [ ADDR : EDIT/ DEL ]저널링 파일시스템.. ㅋㅋ 재종쓰의 학부때.. 무식한 책한권 들고 다니던게 생각나네..
2009.03.01 05:37 [ ADDR : EDIT/ DEL : REPLY ]리눅스는 하면할수록 알면 알수록 재미있지.. 간단한 너만의 커널을 만들고 시스템 명령어들을 하나씩
만들어나가다보면.. 너의 블로그에 올라온 모든 녀석들이 이해가 가기 시작할거 같은데^^
현신군 이러기야 ㄱ-
2009.03.01 17:59 [ ADDR : EDIT/ DEL ]커널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긴 하겠지만. 일단은 현실은 시궁창이라 닥친일부터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