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nfs2009. 9. 1. 10:02

$ sudo apt-get install nfs
라는 말에 낚여 해보니 안되는데 -ㅁ-!! 광분을 하면서 패키지 검색을 해봤더니

$ sudo apt-cache search nfs | grep ^nfs
nfs-user-server - User space NFS server
nfsboot - Allow clients to boot over the network
nfsbooted - Prepares your image for nfs boot
nfs-common - NFS support files common to client and server
nfs-kernel-server - support for NFS kernel server

머.. 아무튼, nfs-common만 해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synaptic package manager에서는 의존성이 없는지 두개가 따로 선택이 가능했다.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9. 1. 09:34
apt-get은 네트워크 검색을 하기 때문에(물론 하드에서 받아 놓지만) 필요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
물론 GUI 프론트 엔드인, Synaptic Package Manager로 해도 되지만, 리눅스의 기본은 콘솔아니겠는가!!! ㅋㅋㅋ

검색시에는 apt-cach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apt-cache search "패키지 이름"

설치시에는 apt-get 이라는 명령이를 사용한다.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이름"

[링크 : http://kldp.org/node/55227]

[링크 : http://linux.die.net/man/8/apt-get]
[링크 : http://linux.die.net/man/8/apt-cache]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6:57
colinux portalb ubuntu를 사용중인데, 이녀석은 별다른 설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아이피가 10.0.2.15로 잡힌다.

$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ff:75:39:d3:c1 
          inet addr:10.0.2.15  Bcast:10.0.2.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ff:75ff:fe39:d3c1/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2902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15244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1303825 (1.2 MB)  TX bytes:7004618 (6.6 MB)
          Interrupt:2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inet6 addr: ::1/128 Scope:Host
          UP LOOPBACK RUNNING  MTU:16436  Metric:1
          RX packets:20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20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572264 (558.8 KB)  TX bytes:572264 (558.8 KB)

portable_ubuntu.conf 파일의 내용에는 아래의 내용뿐이다.
eth0=slirp,00:ff:75:39:D3:C1,tcp:22:22
slirp를 통해서 외부로 접속을 하고,
맥 어드레스와 외부로 22번 포트를 열어주어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아무튼 ip에 신경쓰지 않고 로컬 포트처럼 사용하려면 위의 eth0의 마지막 tcp:22:22 뒤에 / 를 붙이고 붙여주면 된다.
예를 들어 tftp를 열어주고 colinux의 tftpd에 접속하도록 하고 싶다면
eth0=slirp,00:ff:75:39:D3:C1,tcp:22:22/udp:69:69
라고 입력해주면 된다.

[링크 : http://docs.blackfin.uclinux.org/doku.php?id=colinux:network]
[링크 : http://minangel.tistory.com/228] <- 원문 추적 실패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Network]

'프로그램 사용 > co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able Ubuntu TRES / ubuntu 9.10  (6) 2010.05.07
colinux와 UML  (0) 2010.01.23
ubuntu inetd.conf - tftp  (0) 2009.08.31
colinux portable ubuntu 용량 증설하기  (0) 2009.08.31
portable ubuntu (colinux) fstab  (0) 2009.08.3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5:21
ubuntu에서 tftp를 쓰려고 설치했떠니, bsd inetd 어쩌구 하면서 당황을 시킨다 ㄱ-

$ more /etc/inetd.conf
tftp        dgram    udp    wait    nobody    /usr/sbin/tcpd    /usr/sbin/in.tftpd /srv/tftp

이녀석이 tftp의 root directory인데
페도라에서는 /tftpboot로 썼던게 편해서. 일단은 이녀석을 변경하면 /tftpboot로 변경하면 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4:59
예전에 웹초보님의 블로그에서 받은 우분투는 2GB로 rootfs가 잡혀있어서
조금만 설치하면 용량부족 에러가 발생한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서 따라하니 그리 어렵지 않게 이전을 했다.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FAQ#Q28._How_can_I_increase_the_size_of_a_coLinux_block_device_image.3F]


Step 1. 윈도우에서 rootfs를 생성한다. 넉넉한 용량을 위해 8기가를 생성한다.
(하고 나니.. 4기가면 충분했다는 생각이 든다. 8GB = 8 * 1024 * 1024 * 1024 = 8,589,934,592)
시작 - 실행 - cmd
fsutil file createnew C:\Portable_Ubuntu\images\new_rootfs.img 8589934592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HowtoCreateSwapFile]

Step 2. 포터블 우분투의 부팅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C:\Portable_Ubuntu\config\portable_ubuntu.conf

cobd0=images\rootfs.img
cobd3=images\new_rootfs.img

Step 3. 마운트 할 경로를 만들고, 새로 만든 파일 시스템을 포맷후 마운트 한다.
sudo mkfs.ext3 /dev/cobd3
sudo mkdir /tmp/mnt
sudo mount /dev/cobd3 /tmp/mnt

Step 4. 마운트 한 새로운 파일시스템으로 현재 내용들을 이전한다.
sudo cp -ax / /tmp/mnt
sudo cp -a /dev/* /tmp/mnt/dev/
sudo sync
sudo umount /tmp/mnt

Step 5. 종료하고, 부팅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C:\Portable_Ubuntu\config\portable_ubuntu.conf

#cobd0=images\rootfs.img
cobd0=images\new_rootfs.img

위의 단계를 거치면 이전이 완료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4:41
$ more /etc/fstab
#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
#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cobd0      /               ext3    relatime,errors=remount-ro 0       1
/dev/cobd1      none            swap    sw                         0       0
/dev/cobd2      /tmp            ext2    defaults                   0       0

/dev/scd0       /media/cdrom0   udf,iso9660 user,noauto,exec,utf8 0       0

#Windows disks

cofs0          /etc/portable_ubuntu    cofs    user,dmask=0777,fmask=0666 0       0
cofs1          /mnt/C              cofs    user,dmask=0777,fmask=0666 0       0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8. 31. 13:40
fedora용 패키지라서 그런지 rpm으로 나와있는데, 이녀석들을 설치하려고 하니
rpm: To install rpm packages on Debian systems, use alien. See README.Debian.
error: cannot open Packages index using db3 - No such file or directory (2)
error: cannot open Packages database in /var/lib/rpm
이런 에러를 발생시킨다.

일단 rpm을 위한 DB가 존재하지 않아서인데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 sudo mkdir /var/lib/rpm
$ sudo rpm --initdb
를 실행하고 나서 하면된다. --initdb 명령의 경우에는, 아무런 출력 메시지가 없었다.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설치가 안된다면
error: can't create transaction lock on /var/lib/rpm/__db.000
sudo rpm 으로 실행하면 된다.

[링크 : http://kldp.org/node/53463]



alien 이라는 debian 프로그램은, rpm을 deb로 변환해준다고 한다.

[링크 : http://embraceubuntu.com/2005/09/23/installing-using-an-rpm-file/]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 panel에 온도 정보 넣기  (0) 2009.11.02
apt-cache 패키지 검색 하기  (0) 2009.09.01
ubuntu에서 compiz 돌리기  (2) 2009.06.02
우분투에는 iptable 대신 ufw가 있다!  (2) 2009.05.07
ubuntu에 cvs / svn 설치하기  (0) 2009.04.30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9. 8. 31. 00:28
8월의 마지막날

그리고 월요일.



또 아쉬운 한달이 지나간다.. 후우..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름신은 오셨는데 매물이 없다!  (2) 2009.09.07
멍~ 때리기  (0) 2009.09.04
mabinogi - 비퍼잡기  (2) 2009.08.27
NVidia PhysX 제어판  (0) 2009.08.26
나로호에 실린 위성 궤도 진입실패라는데  (0) 2009.08.2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Trac2009. 8. 30. 23:29
TOW라고 윈도우에서 TRAC을 편하게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한국인이 만들었다고 한다. (의지의 한국인 만세 /ㅁ/)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traconwindows/]
[링크 : http://trac.tistory.com/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Trac2009. 8. 30. 22:25
우분투에서 설치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된다.
$ sudo apt-get install trac

아래는 설치 로그이다.

TRAC은 python 기반의 이슈 트래커이다. 간단하게 프로젝트 관리용 웹 프로그램인데,
설치가 까다롭지만, 사용하기에는 매우 편리하다고 한다.

아무튼 우분투에서는 trac 을 설치하려고 하니
자동으로 apahce와 sqllite 그리고 python을 설치한다.

설치 다음에는 환경설정을 하면된다. 환경설정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home/morpheuz/trac에는 사용자가 설치할 경로명을 입력하면 된다.
$ trac-admin /home/morpheuz/trac initenv


Project Name [My Project]>
Database connection string [sqlite:db/trac.db]>
Repository type [svn]>
Path to repository [/path/to/repos]>
입력할 사항은 위의 네가지인데, 프로젝트 네임을 제외하고는 그냥 엔터만 치면 기본 값으로 저장된다.
일단 Database에서 아무생각없이 sqlite:db 만 입력했더니 설치시에 에러가 발생했다.



그 다음에는 웹서버를 구동시키면된다.
/home/morpheuz/trac에는 사용자가 설치한 경로명을 입력하면 된다.
$ tracd --port 8000 /home/morpheuz/trac
위의 8000 포트는 예제 값이니 편의대로 임의의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된다.

'프로그램 사용 > Tr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c 0.12.1 + 한글메뉴 보기  (0) 2010.11.10
Trac - Authentication information not available  (0) 2010.11.09
TRAC on Ubuntu 10.04 + 로고바꾸기  (2) 2010.11.02
TOW - Trac On Window  (0) 2009.08.3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