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arduino(genuino)2020. 4. 17. 23:43

아두이노로 RGB LED를 점멸하게 하는걸 직접 만들어 보려고 했는데

색상 패턴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해서 고민하는데.. 

Red - Green - Blue가 아닌

Red - Green - Yellow - Blue - Magenta - Cyan - White 순서가 되서 

RGB가 아니라 조금 아쉽지만 나름 많이 보던 전형적인 패턴으로 코딩이 가능할 듯.

 

[링크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he-additive-model-of-RGB-Red-green-and-blue..._fig2_328189604]

'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 - 아두이노 i2c 통신 예제  (0) 2020.04.18
arduino rgb led 사용하기  (0) 2020.04.18
arduino nano PWM 출력  (0) 2020.04.17
PAM8403 3W 스테레오 오디오 앰프  (0) 2020.04.17
오랫만에 지름  (2) 2020.04.07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duino(genuino)2020. 4. 17. 23:15

arduino nano 에서는 D3 / D5 / D6 / D9 / D10 / D11 만 PWM 출력을 지원하고

PWM을 지원하지 않는 핀에서 시도할 경우 128을 기준으로 on/off로만 출력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비싼(!) RGB LED 대신 집에 굴러 다니는

RED / GREEN / AMBER 를 글루건으로 붙여서 테스트~

 

아무튼.. 먼가 만들려고 하는데 PWM 출력을 쓰고 싶다면..

핀에 제한이 될 수 밖에 없구나.. 배선을 좀 고민을 해봐야겠다.

 

int led_r = 9;
int led_g = 10;
int led_y = 11 ;
int val = 0;
int dir = 0;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pinMode(led_r, OUTPUT);
  pinMode(led_g, OUTPUT);
  pinMode(led_y, OUTPUT);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analogWrite(led_r, val);
  analogWrite(led_g, val);
  analogWrite(led_y, val);
  if(dir == 0)
  {
    val = val + 1;
    if(val >= 255)
      dir = 1;
  }
  else
  {
    val = val - 1;
    if(val == 0)
      dir = 0;
  }
  delay(2);
}

 

[링크 : https://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analog-io/analogwrite/]

'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rgb led 사용하기  (0) 2020.04.18
rgb led 색상 순환 패턴  (0) 2020.04.17
PAM8403 3W 스테레오 오디오 앰프  (0) 2020.04.17
오랫만에 지름  (2) 2020.04.07
RGB LED 저항값  (0) 2020.03.14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duino(genuino)2020. 4. 17. 18:48

예전에 사둔 스테레오 오디오 앰프를 한번 조립해보는데

0.5W 8옴 자리 두개 스테레오로 구성하니 못쓰진 않을 소리 크기가 나와주긴 한데

 

음질은 차라리 다이소 5000원 짜리 블루투스 스피커가 더 좋다는게 함정

(스피커가 0.5W 라서 그런건가? 좀 더 큰 출력을 달아아야 하나?)

귀찮아서 아두이도 통해서 5V 500mA 공급해서 그런건가? (아니 이론적으로는 2.5W 인데 부족한가?)

 

너무 막 굴러다니니 불편해서 글루건으로 만능보드에 붙여 놓았는데 그렇다고 음질이 좋은건 아니니 계륵 ㅠㅠ

스트레이트가 아니라 right angle 방식이면 좀 더 산뜻하게 선 정리가 가능했을텐데 아쉽네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668236809]

'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gb led 색상 순환 패턴  (0) 2020.04.17
arduino nano PWM 출력  (0) 2020.04.17
오랫만에 지름  (2) 2020.04.07
RGB LED 저항값  (0) 2020.03.14
arduino servo / knob 예제 실행  (0) 2020.03.09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duino(genuino)2020. 4. 7. 16:55

돈이 없어서 허덕여서 살까말까 고민하다가

2만원인데.. 라고 하면서 2만원 이나 하잖아.. 이러면서 고민

후.. 역시 돈이 문제야 ㅠㅠ

 

아무튼 소심하게 지름. 카메라가 단품으로 좀 비싸고

RGB LED를 한번 써보고 싶어서 단품 가격이 좀 세도 일단 지름.

나머지는 정말 싸다.. 싶은데 갯수가 있으니 비싸지네 ㅠㅠ

 

+

nRF24L01

'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nano PWM 출력  (0) 2020.04.17
PAM8403 3W 스테레오 오디오 앰프  (0) 2020.04.17
RGB LED 저항값  (0) 2020.03.14
arduino servo / knob 예제 실행  (0) 2020.03.09
arduino knob 변형 adc 값 읽기  (0) 2020.03.09
Posted by 구차니
embeded/DSP C2000 Ti2020. 4. 2. 11:52

보드가 문제인지 JTAG이 문제인지 알수가 없으니 더 어렵네

 

target 보드를 연결하지 않고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고

** Checking emulator/eZdsp scan connection
** Emulator Test **
 $$ EmuProductName=XDS510USB
 $$ EmuPortAddr=0x510
 $$ EmuPortMode=USB
 $$ ProductId=510
 $$ ProductVersion=84
 ** Emulator Scan Test

  >> Check power to your emulator/eZdsp
  >> Then check your port mode/address

CCS(eclipse)에서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온다.

Error connecting to the target:
Error 0x80000200/-2082
Fatal Error during: OCS, 
Device driver: Emulation Connection Loss Detected on Target CPU.
It is recommended to RESET EMULATOR.  This will disconnect each 
target from the emulator.  The targets should then be power cycled
or hard reset followed by an emureset and reconnect to each target.

 

타겟 보드 연결해서 전원 연결해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 Checking emulator/eZdsp scan connection
** Emulator Test **
 $$ EmuProductName=XDS510USB
 $$ EmuPortAddr=0x510
 $$ EmuPortMode=USB
 $$ ProductId=510
 $$ ProductVersion=84
 ** Emulator Scan Test
   -- Found JTAG IR length of 3
   -- Found 1 JTAG device(s) in the scan chain

왜 CCS에서 디버깅이나 load 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올까..

Error connecting to the target:
Error 0x80000200/-1135
Fatal Error during: OCS, 
Unrecoverable emulation error

'embeded > DSP C2000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ctrum digital XDS510 USB  (0) 2023.07.14
TMS320 소비전력  (0) 2023.07.13
TMS320 보드 버전  (0) 2020.02.18
TMS320 DSP 준비..  (0) 2020.02.16
JTAG ETM / ETB / ITM  (0) 2018.02.12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0. 3. 29. 10:03

dtparam=audio=on이 되어있어도 오디오가 안나와서 검색을 해보니

auto로 되면 hdmi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는 듯?

 

sudo raspi-config

를 통해서 force audio 해줘도 안되네..

 

[링크 : https://raspberrypi.stackexchange.com/questions/100759/pi-3-b-no-audio-device-found]

 

어떤게 영향을 받아서 잘되는진 모르겠지만

sudo raspi-config 에서 force 3.5 하고 (여기까진 차이가 없었던거 같은데)

sudo alsamixer로 볼륨 조절해주고

xwindow에서 우측 상단의 스피커를 우클릭하여 HDMI / Analog 에서 analog로 선택해주니 정상적으로 잘 나온다.

[링크 : https://forum.manjaro.org/t/rpi-3b-3b-sound-trouble-shooting/91077]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날씨 페이지 분석  (0) 2020.04.23
GY-NEO6MV2 (ublox NEO-6M) GPS 모듈  (0) 2020.04.19
라즈베리 파이 카메라 케이블이 이상해  (0) 2020.03.15
라즈베리 프로젝트?  (0) 2020.03.14
rpi clcd / wiringpi deprecated  (0) 2020.03.12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20. 3. 28. 19:00

심심해서 글들 찾아보다 보니 odroid 에는 raspberrypi 엔 없는 ADC가 무려 2채널이나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문제는 30핀 헤더에서 해당 핀을 빼내야 하고 0~1.8V range로 전압을 측정해야 한다는게 점이라고 해야하려나?

아두이노만 해도 0~5V 라서 좀 회로구성이 넉넉한데 핀도 2.54mm가 아닌데다가 1.8V 라니.. 

이걸 쓰려면 공부할게 많을듯 하다. ㅠㅠ

 

그래도 라즈베리에는 없는 ADC가 있다는게 어디인가.. 싶긴하네


[링크 : https://m.blog.naver.com/cpodeveloper/220525614802]

[링크 : https://wiki.odroid.com/odroid-xu4/application_note/gpio/adc]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t=18391]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소비전력과 오드로이드 XU4  (0) 2020.06.02
odroid XU4 H.265 가능이라니  (0) 2020.05.08
odroid xu4 image 테스트  (0) 2020.03.28
odroid xu4 vlc error  (0) 2020.03.27
odroid XU4 데스크 탑 설정  (0) 2020.03.08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20. 3. 28. 17:37

ubuntu-18.04.3-4.14-mate-odroid-xu4-20190929.img

이미지를 혹시나 해서 다기 구워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유튜브 요즘 트래픽 제하니 걸려서 그런지 1080p는 심하게 버퍼링 되고

기본으로 설치된 VLC 로도 동영상이 정상 재생되지 않는건 동일하다.

 

역시 작은 규모라 이런 기본적인(!) 기능도 기본 이미지에서 정상작동하지 않는건가.. ㅠㅠ

아무튼 2020년 이미지는 언제 나오려나?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XU4 H.265 가능이라니  (0) 2020.05.08
odroid xu4 ADC 2CH  (0) 2020.03.28
odroid xu4 vlc error  (0) 2020.03.27
odroid XU4 데스크 탑 설정  (0) 2020.03.08
odroid xu4 AP 관련  (0) 2020.03.07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20. 3. 27. 13:52

처음에는 gl을 못 여네 어쩌네 해서

$ vlc
VLC media player 3.0.8 Vetinari (revision 3.0.8-0-gf350b6b5a7)
[00417b48] main libvlc: 기본 인터페이스로 vlc 실행. vlc 인터페이스 없이 사용하려면 'cvlc' 을 사용하세요.
[0048a268] main playlist: playlist is empty
[92502690] egl_x11 gl error: cannot select OpenGL API
libGL error: failed to create dri screen
libGL error: failed to load driver: exynos

 

mali 드라이버 깔아주었더니 아래와 같이 vlc 자체가 실행이 되지 않는다.

sudo apt install --reinstall mali-fbdev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t=34656]

 

$ vlc
VLC media player 3.0.8 Vetinari (revision 3.0.8-0-gf350b6b5a7)
[00448b48] main libvlc: 기본 인터페이스로 vlc 실행. vlc 인터페이스 없이 사용하려면 'cvlc' 을 사용하세요.
Unable to find an X11 visual which matches EGL config 9
세그멘테이션 오류

 

 

mali-x11을 설치하고 나서야 원래대로 돌아왔는데.. GL가속 안되는건 여전.. ㅠㅠ

sudo apt-get install --reinstall mali-x11

[링크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f=95&t=35559]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t=6583]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t=34656]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t=32741]

[링크 : http://blog.naver.com/woduddl3176/221203365097]

[링크 : https://forum.odroid.com/viewtopic.php?f=55&t=5053]

 

+

2020.03.29

kodi를 통해서는 정상적으로 동영상이 재생된다. 귀찮은데 kodi를 써야하나..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xu4 ADC 2CH  (0) 2020.03.28
odroid xu4 image 테스트  (0) 2020.03.28
odroid XU4 데스크 탑 설정  (0) 2020.03.08
odroid xu4 AP 관련  (0) 2020.03.07
HEVC, H.265 지원 싱글보드  (0) 2019.04.23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0. 3. 15. 20:16

2015년에 샀었던 녀석인데..

케이블 접촉부가 끊어져서 오락가락 하는지라 블랙박스로 쓰긴 무리인데..

[링크 : https://minimonk.net/5693]

 

waveshare Rev 2.0 이라는데 왜... 케이블이 다르지?

반대방향이 아니라 같은 방향 케이블이라 이번에 구매한 녀석이랑 다르다.

내가 샀던 모델만 그렇게 동일 방향인건진 좀 더 찾아 봐야 할 듯

 

걍 이걸 하나 사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네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550318528]

 

+

동일 모델인데 케이블 연결하는 부품의 top/bottom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얘 정체가 머지?

[링크 : https://www.waveshare.com/rpi-camera-b.htm]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