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10. 1. 15. 13:55
집에서는 잘되던넘이.. 회사오니 배를 짼다.
죽일수도 없는 노릇이고, 2일째 틈틈히 검색을 해보니 조금의 실마리가 잡힌다.

원인은 저번글에 적었듯 EDID이고
Nvidia 에서 지원하는 option으로 IgnoreEDID 라는 것이 존재한다.
[링크 : http://baudizm.blogsome.com/2005/09/27/ignoring-edid-to-impose-higher-resolution/]

내가 사용하는 카드는 Geforce2 MX, 드라이버는 96.43.13 이다.
아무튼 IgnoreEDID는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난다.

$ vi /var/log/Xorg.0.log
202 (**) NVIDIA(0): Option "IgnoreEDID" "True"
203 (**) NVIDIA(0): Option "AddARGBGLXVisuals" "True"
204 (**) NVIDIA(0): Enabling RENDER acceleration
205 (WW) NVIDIA(0):
206 (WW) NVIDIA(0): The IgnoreEDID and NoDDC options have been deprecated.  The
207 (WW) NVIDIA(0):     NVIDIA X driver makes use of a display device's EDID
208 (WW) NVIDIA(0):     during construction of its modePool.  It is recommended
209 (WW) NVIDIA(0):     that you allow the X driver to make use of any available
210 (WW) NVIDIA(0):     EDID.  If, however, you know what you are doing and have
211 (WW) NVIDIA(0):     good reason to do so, you can disable the X driver's use
212 (WW) NVIDIA(0):     of EDIDs by setting the "UseEDID" X configuration option
213 (WW) NVIDIA(0):     to FALSE; e.g.,
214 (WW) NVIDIA(0):
215 (WW) NVIDIA(0):   Option "UseEDID" "FALSE"
216 (WW) NVIDIA(0):
217 (WW) NVIDIA(0): Note that, rather than globally disable all uses of the EDID,
218 (WW) NVIDIA(0):     you can individually disable each particular use of the
219 (WW) NVIDIA(0):     EDID; e.g.,
220 (WW) NVIDIA(0):
221 (WW) NVIDIA(0):   Option "UseEDIDFreqs" "FALSE"
222 (WW) NVIDIA(0):   Option "UseEDIDDpi" "FALSE"
223 (WW) NVIDIA(0):   Option "ModeValidation" "NoEdidModes"
224 (WW) NVIDIA(0):
225 (WW) NVIDIA(0): See Appendix D: X Config Options in the README for details on
226 (WW) NVIDIA(0):     each of these options.
간단하게 말하자면, IgnoreEDID 대신에 UseEDID를 쓰라는 이야기이다.

아무튼, 이런식의 오류가 나면서 640x480으로 강제 설정된다.
209 (II) NVIDIA(0): NVIDIA GPU GeForce2 MX 100/200 at PCI:1:0:0 (GPU-0)
210 (--) NVIDIA(0): Memory: 32768 kBytes
211 (--) NVIDIA(0): VideoBIOS: 03.11.01.26.31
212 (II) NVIDIA(0): Detected AGP rate: 4X
213 (--) NVIDIA(0): Interlaced video modes are not supported on this GPU
214 (--) NVIDIA(0): Connected display device(s) on GeForce2 MX 100/200 at
215 (--) NVIDIA(0):     PCI:1:0:0:
216 (--) NVIDIA(0):     CRT-0
217 (--) NVIDIA(0): CRT-0: 350.0 MHz maximum pixel clock
218 (II) NVIDIA(0): Assigned Display Device: CRT-0
219 (WW) NVIDIA(0): No valid modes for "1024x768"; removing.
220 (WW) NVIDIA(0): No valid modes for "800x600"; removing.
221 (II) NVIDIA(0): Validated modes:
222 (II) NVIDIA(0):     "640x480"
223 (II) NVIDIA(0): Virtual screen size determined to be 640 x 480
224 (WW) NVIDIA(0): Unable to get display device CRT-0's EDID; cannot compute DPI
225 (WW) NVIDIA(0):     from CRT-0's EDID.
226 (==) NVIDIA(0): DPI set to (75, 75); computed from built-in default



640x480 에서 처참하게 잘린 X Server Setting (드라이버 버전 96.43.13)


해결방법 : 나의 경우에는 어처구니 없게도.. 모니터 케이블 교체하니 EDID를 제대로 받아왔다.
               케이블이 회사에 없어서 20m 짜리 케이블을 사용했는데 커넥터 하나가 비어있었다.
               아무튼 이녀석이야 Green GND 쪽이라 상관은 없겠지만.. 아무튼 케이블 문제라니 ㄱ-
               (아래 기준으로 7번 핀이 빠져있었지만, 상관없어 보이고, 아마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가장 아래쪽에 13,14번 핀을 제외한 나머지 핀이 연결되어 있지 않았었나보다)


Pin 1 RED Red video
Pin 2 GREEN Green video
Pin 3 BLUE Blue video
Pin 4 ID2/RES formerly Monitor ID bit 2, reserved since E-DDC
Pin 5 GND Ground (HSync)
Pin 6 RED_RTN Red return
Pin 7 GREEN_RTN Green return
Pin 8 BLUE_RTN Blue return
Pin 9 KEY/PWR formerly key, now +5V DC
Pin 10 GND Ground (VSync, DDC)
Pin 11 ID0/RES formerly Monitor ID bit 0, reserved since E-DDC
Pin 12 ID1/SDA formerly Monitor ID bit 1, I²C data since DDC2
Pin 13 HSync Horizontal sync
Pin 14 VSync Vertical sync
Pin 15 ID3/SCL formerly Monitor ID bit 3, I²C clock since DDC2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VGA_connector]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 13. 22:49
우분투에서 우연히 보게된 기능인데.. 기존에도 있었던가?



오른쪽 클릭하고 탭 열기 하면 탭으로 생긴다.
나만 몰랐나 -ㅁ-?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2. 26. 00:01
build-essential 을 설치해야지 gcc 및 각종 include 파일들이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추천하는 패키지는
meld
codeblocks
cvs/subversion

정도면 충분?!

[링크 : http://mwultong.blogspot.com/2006/10/gcc-c-ubuntu-linux-gcc-install.html]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2. 10. 11:12
how to install ubuntu in TC-100 tablet

귀찮으니 (눈에 안들어 오는 -ㅁ-) 일단 링크 정리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Wacom]
[링크 : http://alexmac.cc/tablet-apps/]
[링크 : http://wiki.linuxquestions.org/wiki/Tc1100]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563736&page=32]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post.php?p=7234134&postcount=176]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솔 터미널 탭사용하기  (0) 2010.01.13
우분투 개발관련 패키지  (0) 2009.12.26
Xournal + CellWriter  (4) 2009.12.10
Ubuntu 9.10 에서 프로그램 설치가 안될경우  (0) 2009.12.09
Ubuntu 9.10 만세  (4) 2009.12.09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2. 10. 09:47


천백이 카페의 의기천추님의 조언으로 Xournal을 설치하면서
몇가지 검색을 해보니 CellWriter라는 녀석이 있습니다.

네네~ 이녀석은 말그대로 윈도우 XP Tablet Edition의 필기체 인식을 하는 녀석이죠~
근데.. 아쉽게도 한글인식은 못합니다

아무튼, Xournal은 윈도우 필기장 보다는 부드럽게 써지는 느낌이지만
윈도우 필기장과 호환안되는 점은 아쉽습니다만.. 머 윈도우 필기장도 전용 포맷이니 ㅋㅋㅋ



2009.12.28 추가
PDF annotator 처럼 Xournal에서 PDF를 열어 필기가 가능하다고 한다.
[링크 : http://brucekim.egloos.com/2455400]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2. 9. 14:50
apt-get 서버의 목록중 캐노니컬 관리 / 커뮤니티 관리 이런식으로 분리를 해놓는 바람에
많은 프로그램들이 기본 설치목록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System - Administration - Software Sources 를 선택한다.

Communitu-maintained Open Source software (universe)
항목을 선택하고 Close 한뒤, refresh 해주면 서버에서 프로그램 목록을 가져온다.

compiz 모드에서 찍은 스샷이라.. 제목표시줄이 가출.. (먼산)
아무튼 위의 항목을 선택 해주지 않으면, 위와 같이 캐노니컬에서 한게 아니라 Install 버튼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항목을 선택하고 나면 위와 같이 캐노니컬에서 하지 않지만 Install 버튼이 생긴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1100에 우분투 설치 관련 문서  (6) 2009.12.10
Xournal + CellWriter  (4) 2009.12.10
Ubuntu 9.10 만세  (4) 2009.12.09
9.10 kalmic 업그레이드 / 맛배기  (0) 2009.11.02
gnome panel에 온도 정보 넣기  (0) 2009.11.02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2. 9. 10:38
어제 바람이 불어서(응?) Ubuntu 9.10 을 LiveUSB로 구동했다.
각설하고 대충 살펴보자면

장점 :
- 이전 버전의 불만이었던 GIMP / OpenOffice가 포함되었다!!! (이거 하나면 포토샾에 오피스 한방에 떡실신)
- TC1100 타블렛에서 타블렛 기본 인식!!
- Geforce4 420Go 지원으로 간편한 Compiz-Beryl 가동
- Live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빠르고 안정적인 환경(2분 정도의 빠른 부팅속도)

단점 :
- 기본값으로 한글 입력 불가 / 터미널에서 한글 입력 오류
- wireless network manager의 오작동
- 여전히 Firefox에 Abode flash plugin 기본설치 되어 있지 않음(라이센스 문제?)
- 타블렛을 위한 프로그램은 전무
- Beryl 을 위한 설정 프로그램 존재하지 않음

아무튼, 9.04 에서 9.10으로 업그레이드 하는것보다 몇배 나은것 같다.
어짜피 한글은 그리많이 쓰지 않으니 -ㅁ-

CCSM(CompizConfig Setting Manager)
[링크 : http://www.ubuntugeek.com/how-to-install-and-configure-compiz-fusion-in-ubuntu-9-10karmic.html]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Xournal + CellWriter  (4) 2009.12.10
Ubuntu 9.10 에서 프로그램 설치가 안될경우  (0) 2009.12.09
9.10 kalmic 업그레이드 / 맛배기  (0) 2009.11.02
gnome panel에 온도 정보 넣기  (0) 2009.11.02
apt-cache 패키지 검색 하기  (0) 2009.09.01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1. 2. 01:10
업데이트 관리자에서 상단의 업그레이드를 누르면 9.10 으로 업그레이드를 한다.

이러한 릴리즈 정보도 뿌려주고


머.. 이런 단계로 넘어가기도 하고


912M를 다운받는 엄청난 용량 -ㅁ-
아무튼 받고 지우고 알아서 잘~한다

총 업그레이드 소요 시간
다운로드 대략 15분 / 설치 1시간 / 삭제 20분 정도
대략 1시간 30분

근데 한글.. 어쩔?


일단 사용하는 컴퓨터 사양은
P4-2.66Ghz / 512MB / 내장 그래픽 / EIDE 80GB 하드

아무튼 메모리가 적어서 인지 모르겠지만
부팅시에 10초 잡아 먹는 것을 제외하고도
1분 30초 가량 부팅에 소요되고(하드 멈출때까지)
종료에는 10초 정도 소요된다.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11. 2. 00:57
예전 draco 님의 블로그에서 보고 졸라서 알아낸 정보인데


상단의 패널에 이런식의 온도 정보를 넣고 쓰시길래 물어 봤더니...
기본 기능이라고 하시길래 찾아 봤다.

아무튼, 저 빈칸에서 우클릭 - 패널에 추가를 해주면 되고
적당한 것을 골라서 넣어주면 된다.

Computer Temperature Monitor나
Hardware Sensors Monitor를 선택해주면 위의 화면과 같이 패널에 추가된다.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9. 1. 09:34
apt-get은 네트워크 검색을 하기 때문에(물론 하드에서 받아 놓지만) 필요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
물론 GUI 프론트 엔드인, Synaptic Package Manager로 해도 되지만, 리눅스의 기본은 콘솔아니겠는가!!! ㅋㅋㅋ

검색시에는 apt-cach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apt-cache search "패키지 이름"

설치시에는 apt-get 이라는 명령이를 사용한다.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이름"

[링크 : http://kldp.org/node/55227]

[링크 : http://linux.die.net/man/8/apt-get]
[링크 : http://linux.die.net/man/8/apt-cache]
Posted by 구차니